사회 사회일반

고위험 우울증, 입속 침으로 예측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 분석

타액 코티솔 양 적을수록 위험

석정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석정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




입 속 침(타액)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우울증 및 자살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학대, 따돌림, 가정폭력과 같이 어린 시절에 겪은 트라우마 등 심리·사회적 요인과 회복탄력성 등의 지표를 통해 고위험 우울증과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질환의 조기발견 및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석정호(사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7일 우울증 환자가 어린 시절에 겪은 트라우마 등 심리·사회적 요인과 회복탄력성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석 교수팀은 73명의 연구 대상을 우울증상과 자살위험성, 정신건강의 취약요인-보호요인 평가에 따라 △정신건강 양호 △우울증 위험 △질병과 건강한 상태의 경계 등 세 집단으로 나눴다. 아침 기상 직후부터 1시간까지 30분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타액을 모아 코티솔 호르몬 농도를 측정했다. 코티솔 호르몬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에 이르는 신경내분비계(HPA) 축의 기능 변화를 반영한다. 코티솔은 혈압과 전해질 균형의 유지를 돕고 에너지의 저장을 촉진한다. 특히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량이 증가한다.

관련기사



우울증 상태와 회복탄력성에 따른 기상 후 코티솔 분비량 비교 그래프.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우울증 상태와 회복탄력성에 따른 기상 후 코티솔 분비량 비교 그래프.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


연구 결과 아침 기상 후 코티솔 농도의 총합은 우울증 위험 집단이 정신건강 양호 집단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우울증이 심할수록 아침 신체기능이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부족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아침 기상 후 30분 동안 증가하는 타액 코티솔의 양은 회복탄력성이 높은 그룹일수록 많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우울증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라기보다 유전·생물학적 특성·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자살 위험이 있는 고위험 환자는 질환 초기 신속한 치료를 통해 극한 상황을 사전에 막는 것이 중요하다. 석 교수는 “그동안 임상 현장에서 우울증을 진단할 때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 우울 증상 평가와 진료를 병행하는 것이 표준적인 절차였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타액 코티솔 호르몬과 같은 생물학적 지표 평가가 가능해져 과학적 객관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프론티어스 인 피직스(Frontiers in Physics)’ 최근호에 게재됐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