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동해와 전 세계의 해저 지명, 우리말 등재 늘린다

지질자원연 이현석 박사, 국제해저지명소위원회(SCUFN) 위원 선출

우리말 해저지명의 발굴·확산 통한 대한민국의 국제 영향력 강화 기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현석 박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현석 박사




최근 우리말 해저지명이 국제 공식지명으로 등재되면서 전세계 해도와 지도 제작기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해저 지명을 결정하는 국제기구인 국제 해저지명소위원회(SCUFN)위원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이현석 책임연구원이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부터 5년 동안이다.



국제 해저지명소위원회(SCUFN)는 국제수로기구(IHO)와 정부간 해양학위원회(IOC)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위원회다. 전세계 해저지명을 심의·의결 후 결정된 지명을 해도와 지도 사용에 권고하는 해저지명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국제기구이다.

관련기사



이현석 박사는 2006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입사해 대륙붕 등 국내 해역의 지질 모델링 및 석유 시스템 분석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해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 및 해양환경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해역의 해양지질학 연구를 이끌고 있다.

이 박사는 “아름다운 한글, 우리말로, 보이지 않는 심해저의 이름을 부여할 수 있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을 하게 되어 책임감이 무겁다”며 “우리말 해저지명의 확산과 보급을 통해 전 세계 해양지질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질자원연 이평구 원장은 “이현석 박사의 국제 해저지명소위원회의 위원 선출은 해양지질 분야의 연구에 정진한 결과이자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대한민국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 지질 자원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이 국제기구에 진출해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