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 "안물러나" 權 "권한정지"…제2 옥새 파동 치닫나

■ 사상 초유 與대표 '당원권 정지' 중징계

李, 가처분신청 통해 '반전' 노릴듯

국힘 사실상 '권성동 체제'로 기울어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8일 국회 당 대회의실에서 열린 중앙윤리위원회의에 출석해 '성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한 뒤 돌아가고 있다.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8일 국회 당 대회의실에서 열린 중앙윤리위원회의에 출석해 '성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한 뒤 돌아가고 있다.





8일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이준석 대표에게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불명예 퇴장 위기에 직면한 이 대표는 윤리위의 판결을 부정하며 “당 대표에서 물러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미 당 대표의 권한이 중단됐고 자신이 직무대행을 맡게 됐다면서 실권이 자신에게 넘어왔음을 시사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두 달 만에 집권 여당이 당권을 두고 극심한 내홍에 빠졌다.

관련기사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이날 새벽 약 8시간의 격론 끝에 성접대 관련 의혹으로 회부된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김철근 당 대표 정무실장이 성접대 연루자와 작성한 7억 원 투자 각서에 ‘입막음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윤리위는 김 실장에게도 당원권 정지 2년 징계를 내렸다.

이 대표는 KBS 라디오에 출연해 윤리위의 결정에 승복하지 않고 임기(내년 6월)까지 완주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물러날) 생각이 없다”며 자신이 승인하기 전까지 윤리위의 결정은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향후 재심 청구,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면서 ‘윤리위 뒤집기’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발언에 어깃장을 놓았다. 그는 “징계 의결 즉시 효력이 발생해 당 대표의 권한이 정지되고 원내대표가 직무대행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사법부에 해당하는 윤리위의 결정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 대표의 징계와 관련해 “당원의 한 사람으로서 안타깝다”면서도 “당무를 언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말해 윤심 개입설에 거리를 뒀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