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일 외교장관 "대북공조 강화"… 아베 전 총리 애도 발언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한목소리로 대응키로"

공급망, 팬데믹, 기후변화 등 미래지향적 협력도

박진 외교부 장관이 8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직후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대화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외교부박진 외교부 장관이 8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직후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대화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외교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일 외교장관이 만나 대북 공조방안을 논의했다. 한미 외교장관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피격 사망에 대해 깊은 애도의 뜻도 전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8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 기간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만나 회담을 진행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 것은 지난 2월 하와이 회담 이후 5개월 만이다.

관련기사



한미일 외교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북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공조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이는 지난달 29일 스페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후속 협의 성격이다. 박 장관은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 “한미일 정상회담을 통해서 형성된 3국 협력 모멘텀을 이어나가기 위해서 구체적 협력 방안을 협의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 3국 장관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해 한목소리로 단호하게 대응하고 비핵화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일 외교장관은 대북 공조방안과 더불어 공급망, 팬데믹 대응, 기후변화 등의 분야에서도 미래지향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새로운 지역·글로벌 도전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 박 장관의 설명이다.

한미 외교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아베 전 총리의 피격 사망에 대한 애도도 전했다. 세 장관은 굳은 표정으로 회의장에 들어선 뒤 악수도 생략하고 각자 국기 앞에서 사진 촬영만 하고 앉았다. 박 장관과 블링컨 장관은 한 일본 기자의 질문에 아베 전 총리를 애도하는 의견도 전했다. 박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깊은 애도를 전한 것을 언급한 뒤 “한국 정부는 이번 총격 사건을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는 폭력적 범죄행위로서 강력히 규탄한다”고 언급했다. 블링컨 장관 역시 아베 전 총리가 재임 기간 미일관계를 새로운 높이로 끌어올렸고 ‘특별한 파트너’이자 ‘훌륭한 비전을 가진 지도자’였다고 애도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