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1년에 자동차 100대 충돌하는 이곳은…전기차도 충돌실험 시작[금융잇플]

경기도 이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가보니

"전기차 초기 시장 잘못된 관행 막아야"

정비 자료·수리 가이드도 마련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 테슬라와 국산차의 충돌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제공=보험개발원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 테슬라와 국산차의 충돌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제공=보험개발원




1년에 많게는 차 100대가 충돌하는 곳이 있다. 바로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로, 아직 출시되지 않은 신차와 국내에 출시된 여러 차종의 충돌실험이 진행된다. 충돌실험을 통해 충돌 속도에 따른 차량의 파손 정도를 파악해 수리비의 적정성, 모델별 보험요율 차등화를 위한 정확한 기초자료를 생산해낼 수 있다. 1년에 충돌실험은 80~100회 진행되고, 모델로 따지면 1년에 20여개 자동차 모델이 진행된다. 충돌실험 시 더미(인체모형)를 통한 운전자의 부상 정도 등도 파악할 수 있다. 전기차 사용이 많아지면서 최근에는 전기차인 테슬라의 충돌실험도 처음으로 진행됐다.



지난달 28일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는 실제로 충돌실험을 볼 수 있었다. 자동차 한 대가 달려오더니 또 다른 자동차의 측면과 부딪히면서 귀를 찢는 듯한 굉음이 들렸다. 시속 40㎞로 달리던 국산 자동차를 전기차 테슬라와 충돌시키는 이 실험에서 달려오던 차는 정면 보닛 부분이 망가졌고 측면을 부딪힌 테슬라도 운전석 쪽이 움푹 패였다. 오승철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AOS실장은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리다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시속 30~40㎞인 상태에서 충돌하게 된다”며 “이 정도 속도로 충돌하면 실제로는 굉장히 큰 사고”라고 설명했다.

이번 실험은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가 올해부터 처음 시작한 전기차 충돌 실험이었다. 5월에 한 차례 진행했고 이날은 두 번째다. 두 실험은 충돌 속도 및 위치에 따른 테슬라 배터리의 손상 정도를 살펴보는 것에 집중됐는데, 모두 테슬라 배터리 손상은 없었다.

그동안 보험개발원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실험만 진행했을 뿐 전기차에 대한 실험은 하지 않았다. 전기차 실험이 올해 처음 시작된 것은 최근 전기차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전기차에 대한 보상 기준은 없어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기차의 사고 후 평균 수리비는 245만 원으로 비전기차 188만 원보다 30%가량 비쌌다. 보상 기준인 수리비가 비싸니 당연히 보험료도 비싸다. 개인용 전기차의 계약 건당 평균 보험료는 94만 3000원으로 비전기차보다 18만 원 이상 비쌌다.



보험개발원은 이르면 올해 안에 실험과 연구를 거쳐 전기차 보상 기준을 산출해낼 계획이다. 보험개발원이 전기차 보상 기준을 마련하면 보다 합리적인 보험료와 사고 수리비 기준 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에 대한 최신 정비 관련 연구 자료를 생산하고 작업 시간을 산출해 교육 자료를 만들 예정”이라며 “초기 시장 확대 시점에 잘못된 관행이 정착되지 않도록 전기차 수리 가이드도 마련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는 보험개발원 부설기구로 삼성화재·현대해상 등 국내 자동차 보험사 14곳이 출자해 운영하고 있다. 충돌 실험뿐 아니라 자동차 부품별로 드는 공임과 부품비 표준화 작업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다. 예컨대 접촉사고가 났을 때 가장 수리가 빈번한 차량 페인트 연구도 이곳에서 진행한다.

전기차 보상 기준 마련 이외에도 자동차기술연구소가 최근 집중하고 있는 분야가 자동차수리비 온라인서비스시스템(AOS)이다. 인공지능(AI)이 사고 차량의 사진을 보고 부품 종류와 손상 정도 등을 스스로 판독해 예상 수리비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데 AOS 심사 비율이 확대되면 손해사정사가 대손상 고액사고에 대한 정확한 손해사정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보험개발원은 경미사고 시 대인배상 지급보험금 합리화를 위한 연구에도 집중하고 있다. 과다한 치료비 및 합의금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객관적·과학적 상해위험 판단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표준치료가이드를 개발하고 임상진료지침을 등록한 상태로, 향후 경미사고 대인배상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지침 개정 및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치료비 지급 관련 기준 개선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 테슬라와 국산차의 충돌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제공=보험개발원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 테슬라와 국산차의 충돌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제공=보험개발원




※금융잇플레이스(it place)=공간을 통해 고객들과의 접점을 찾으려는 금융권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은행 점포 등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지만 고객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각인 시킬 수 있는 공간과 고객 경험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금융 관련 이색 장소를 찾아 소개합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