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보험연구원 "실손보험 소비자 수용성 제고 노력해야"

임준 연구위원 미국 장기요양보험 사례 분석





국내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험사의 건전성 제고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실손보험 수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임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0일 ‘미국 장기요양보험 사례가 국내 실손의료보험에 주는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관련기사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장기요양보험은 간병 및 제반 서비스 비용을 특정 한도까지 보장해주는 보험으로 구조적 적자 문제와 보험사들의 시장 철수를 경험했다는 점에서 국내 실손보험과 유사성을 띠고 있다.

미국 장기요양보험 신규 판매 건수는 2002년 75만 400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해 2020년에는 4만 9000건으로까지 줄었다.

보고서는 “미국 장기요양보험의 경우 2000년 초반에는 보험사의 건전성이 이슈였으나 2010년 이후부터는 보험사 건전성뿐만 아니라 소비자 수용성도 주요 이슈가 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국내 실손보험은 도입 초기 주로 소비자 수용성이 초점이 맞춰졌고 최근에는 보험사의 건전성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미국 장기요양보험 사례를 참고할 때 향후 보험사 건전성과 소비자 수용성이 모두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실손보험 건전성과 수용성 제고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 대비해 국민건강보험과 민영건강보험 간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