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관건은 2년 뒤 '총선 공천권'…직대냐 전대냐 '수싸움' 시작됐다

■당 내분 휩싸인 국민의힘

6개월 직무대행 불안정 공감대

'비대위 체제로 전환' 강경론에

"수사결과 지켜보자" 신중론 맞서

이준석 자진사퇴로 물꼬 틀수도

8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징계 이후 이 대표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가운데 10일 국회 본청 국민의힘 당 대표실이 불이 꺼져 있다.성형주 기자8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징계 이후 이 대표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가운데 10일 국회 본청 국민의힘 당 대표실이 불이 꺼져 있다.성형주 기자




현직 여당 대표에 대한 사상 초유의 중징계로 당의 내분이 극에 달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11일 초선·재선·중진 등 선수별 릴레이 모임에 이어 의원총회도 개최한다. 이준석 대표 징계에 따른 지도부 구성 논의도 이날 연이은 회의에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 다만 2년 뒤 총선에서 ‘공천권’을 쥐는 개편을 두고 이해관계가 갈리는 만큼 이를 둘러싼 당내의 치열한 수싸움도 예상된다.



지도부 체제 개편을 두고서는 각종 의견이 경합하고 있다. 직무대행인 지도부를 해체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해야 한다는 강경론이 대두되고 있다. 반면 역풍을 우려해 경찰 수사 결과를 기다렸다가 방향을 결정하는 게 맞는다는 신중론이 맞서는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에 대한 자진 사퇴 압박이 이어지고 있어 이 대표가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10일 서울경제 취재 결과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은 직무대행이라는 불안정한 체제를 6개월이나 지속하는 것은 무리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경제 위기 등 과제가 산적한 임기 초에 집권 여당의 대표 자리를 비워둘 수 없다는 것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이 상태로 6개월을 견디긴 어렵다”고 말했다.



◇강경파는 비대위 전환 주장=당장 지도부를 재편하는 방법은 비대위 출범이다. 최고위원회에서 당 비상 상황이라는 점을 들어 비대위 구성을 의결할 수 있다. 또 최고위원들이 사퇴해 의결정족수에 미달해도 비대위로 전환된다. 비대위가 출범하면 당 대표 자리는 상실된다.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를 궐위로 해석하기 어려운 상황을 우회해 이 대표를 제거하는 강수인 것이다.

관련기사





다만 비대위 출범 시 최고위가 해체되기 때문에 최고위원들이 협조할지는 미지수다. 또 이 대표가 자신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에 강력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윤리위 처분에 가처분 신청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비대위 출범에 대해서도 효력 정지를 거는 강 대 강 대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대표가 경찰 수사에서 무혐의를 받으면 당이 역풍을 맞는다.

◇수사 결과 보자는 신중론도=경찰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경찰이 이미 김성진 아이카이스트 대표를 조사한 만큼 1~2개월 내 결론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이 대표가 기소 의견으로 송치되면 궐위로 해석해 전당대회를 열면 된다는 의견이다. 잔여 임기 당 대표를 뽑아 빠르게 당 리더십을 확립할 수도 있고 이 대표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으로 남을 때까지 직무대행을 유지하거나 비대위 체제로 가다가 2년 임기 당 대표를 선출할 수도 있다.

당규를 바꿔 곧바로 2년 임기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안도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대표가 경찰 수사에서 무혐의를 받으면 당원권 정지 기간인 6개월 뒤 복귀하게 된다. 이는 반(反)이준석파는 원하지 않는 그림이다.

◇결국 자진 사퇴가 물꼬 틀까=이 대표의 자진 사퇴도 시나리오 중 하나로 거론된다. 이 대표를 향해 당의 안정을 위해 일보 후퇴해 달라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 대표와 원내대표로 호흡을 맞춘 김기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당 대표로서 개인의 과거 문제로 촉발된 혼란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지도자로서의 도리”라고 말했다. 만약 경찰 수사에서 기소 의견이라도 나오면 심대한 타격을 받는 만큼 사법 절차에 집중하는 시간을 갖는 게 낫다는 차원의 조언도 나온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차분히 사태를 정리하시고 누명을 벗기 위한 사법적 절차에만 집중하라”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이 대표에게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의견이 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총에서 자진 사퇴 촉구 결의안이 채택되기라도 하면 이 대표가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간 이 대표의 행보를 고려하면 자진 사퇴를 택하겠느냐는 회의론도 나온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