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10명 중 6명 "하반기 집값 떨어질 것"

61.9%가 본인 거주지역 주택매매가격 떨어질 것으로 전망

원인으론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 63.9%로 1위

작년말 실시한 2022년 전체(좌) 최근 실시한 2022년 하반기(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직방작년말 실시한 2022년 전체(좌) 최근 실시한 2022년 하반기(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직방




국민 10명 중 6명은 올해 하반기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직방이 실시한 2022년 하반기 거주지역의 주택매매가격 예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727명 중 61.9%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말에 조사한 2022년 주택매매가격 ‘하락’(43.4%) 응답 비율보다 18.5%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역별로는 서울(63.2%), 경기(63.7%), 인천(61.0%) 등 수도권에서 하락을 전망한 비율이 60% 이상을 보였다. 지방 5대 광역시(59.5%), 이 외 지방은(58.0%)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무주택자 72.4%가 하락을 전망하며 유주택자가( 51.2%)와 큰 차이를 보였다.

관련기사



2022년 하반기 거주지역별(좌), 주택보유 여부별(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직방2022년 하반기 거주지역별(좌), 주택보유 여부별(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직방


2022년 하반기 집값 하락 원인으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 증가’가 63.9%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으로 인한 수요 감소'(15.0%)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4.7%) 등이 뽑혔다.

한편 하반기 주택 전세가격 역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40.7%)가 더 많았다. ‘상승’ 응답 비율은 35.1%로 작년 말에 조사한 비율(46.0%)보다 1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22년 하반기 주택가격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등 외부적 요인이 계속해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매수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매매가격은 하향 조정되고, 전세가격은 ‘상승’과 ‘하락’ 혼조세 속 신규 입주물량에 따라 차이를 보일 전망이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