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철콘연 12개 현장서 공사 멈춰…반포 원베일리 포함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지부가 11일 하도급대금 증액 요청에 비협조적인 13개 시공사의 현장 15곳에서 공사를 중단했다. 연합뉴스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지부가 11일 하도급대금 증액 요청에 비협조적인 13개 시공사의 현장 15곳에서 공사를 중단했다. 연합뉴스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공사비 인상을 요구해 온 골조공사 업체들이 11일 파업하며 수도권 일부 공사 현장이 멈춰섰다. 서울·경기·인천 철근콘크리트사용자연합회가 당초 파업 대상 현장으로 밝혔던 60곳(32개 시공사)가운데 12곳(11개 시공사)만 최종 셧다운에 참여했으나 래미안 원베일리 등 유명 재건축 아파트 등이 포함돼 수도권 정비사업의 차질이 전망된다.



11일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경·인 연합회는 이날부터 하도급대금 증액 요청에 비협조적인 11개 시공사의 현장 12곳에서 공사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서희건설(2곳) △삼성물산(1곳) △디케이건설(1곳) 등이다. 연합회는 협상이 진행된 대다수의 현장에서 ‘셧다운’을 철회했지만 2990가구가 입주를 앞둔 서울 서초구 반포동 소재 래미안 원베일리(신반포3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3공구), 파주 운정3지구 A5BL 등 대형 사업장들은 포함됐다.

관련기사



원베일리 공사가 중단되며 김석중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재건축조합장은 조합원들에게 “공사 현장 3개 공구 중 2개 공구의 업체 파업으로 공사가 일부 셧다운 됐다”며 “타 공정을 철저히 진행하여 공사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연합회는 시공 능력 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에 계약 금액 20% 인상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후 전국 단위로 3월 2일 셧다운을 진행했다. 또한 4월에도 호남·제주 골조 업체들이 협상에 미진한 현장을 대상으로 공사를 중단했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