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5분간 미친듯 울렸다"…영화 관객 분노 '알람 테러' 전말

휴대폰 '분실모드'로 전원 끌 수도 없어

당사자 "상영관에 있을 줄 몰랐다" 사과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CGV 용산 아이파크몰 아이맥스(IMAX) 상영관에서 한 관람객이 분실한 휴대전화에서 분실 알람이 영화 상영 도중 수차례 울려 관람객들이 피해를 입었다.



지난 1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 관람객이 영화관에 두고 간 휴대폰에서 알람이 25분간 다섯 차례나 울렸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이 알람의 정체는 ‘휴대폰 분실물 찾기’ 기능 작동 소리였다. 당시 영화를 관람했다는 작성자 A씨는 “앞선 회차에서 폰을 놓고 간 어떤 사람이 폰을 찾겠다고 영화가 상영되는 내내 분실물 찾기 알림을 미친 듯이 울려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폰은 바닥에 있었고 갤럭시 분실 모드로 돌아가고 있었다"며 "전원을 끄려 했는데 분실 모드에서는 폰 전원이 꺼지지 않았다"고 했다. A씨는 이 때문에 “영화에 몰입, 집중할 수 없었고 주변 사람들도 다 화를 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A씨와 같은 회차에 영화를 본 사람들은 "역대급 ‘관크(관객 크리티컬·관람을 방해하는 것)’에 화나서 돌아버릴 것 같다", "영화를 아예 볼 수가 없었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화를 냈다. 일부 관람객들은 “CGV가 관리를 소홀하게 한 측면도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관람객들은 "(휴대폰이) 바닥에 있었는데 (영화관 측은) 청소도 안 하는 건가?", "내일 고객센터에 전화하려고 한다"며 CGV측에 항의하기도 했다.

논란이 커지자 휴대전화를 잃어버린 당사자라고 밝힌 B씨는 11일 사과문을 올렸다. B씨는 "주말의 영화 관람을 망쳐 정말 너무 죄송하다"며 "절대 고의가 아니었다. 휴대전화가 상영관 안에 있을 것이라고는 아예 생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용산 아이맥스관의 관크 소동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0월에는 드니 빌뇌브 감독의 ‘듄’ 상영 중 한 관객이 화장실에 가려고 출구를 찾다 상영관 내부 조명을 켜는 상황이 벌어졌다. 같은 해 11월에도 영사기 렌즈 주변에 벌레가 내려앉아 스크린에 벌레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관객들이 영화 관람에 불편함을 겪기도 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