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철콘연 수도권 파업 현장60개 →10개로 축소…대형사 가운데 GS·SK만 남아

파업예고 시점기준 대상 현장 6분의 1로 축소

철콘연 “거래 끊길 위험에도 사활 걸려있어 파업”

철근콘크리트 작업이 멈춘 서울 시내의 한 공사현장 모습/연합뉴스철근콘크리트 작업이 멈춘 서울 시내의 한 공사현장 모습/연합뉴스




원자잿값 폭등에 따른 공사비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골조공사 업체들의 파업이 이틀 째 이어지고 있다. 파업 대상 현장은 당초 예고했던 60곳에서 10곳으로 크게 줄었지만, 공사비 증액 협상이 난항을 빚는 현장 위주로 남아있어 공사 중단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12일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서울·경기·인천 연합회는 하도급 대금 증액요청에 협조하지 않고 있는 9개 시공사의 10개 현장에서 공사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GS건설의 판교밸리자이·신성역자이푸르지오 2공구 △SK에코플랜트의 과천펜타원 신축공사 △극동건설의 가락동 농수산물센터 신축공사 △금호건설의 양주회천 아파트 신축공사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관련기사



연합회는 지난 8일 32개 시공사의 60개 현장을 대상으로 파업을 진행한다고 밝혔으며, 이후 발주업체나 시공사와의 협의를 거쳐 대부분의 현장에서 파업을 철회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신반포3차·경남 통합재건축(래미안 원베일리) 현장의 경우 전날인 11일 오후 연합회 소속 업체와 삼성물산이 원만하게 합의해 12일부터는 정상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파업 대상 현장이었지만 제외된 시공업체 관계자는 “공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각 현장서 철콘연의 협상에 진지하게 임했다”며 “원자재 가격 뿐 아니라 모든 부분서 비용 증액 원하는 협력업체들이 많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학노 철콘연 서경인 대표는 파업 대상 현장이 줄어든 것에 대해 “회사마다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곳과 아닌 곳이 있기에 조정이 되고 있다”며 “골조업체들이 향후 분쟁이 생긴 대형 건설사와 거래가 차단될 위험을 떠 안으면서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는 이유는 (증액 없이는) 파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앞서 연합회는 시공능력 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에 원자잿값 상승 분을 공사비에 반영해 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이후 전국 현장을 대상으로 3월 2일 한 차례 셧다운을 진행했다. 호남·제주 골조업체들 역시 4월에 협상에 비협조적인 곳을 대상으로 공사를 중단한 바 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