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무색한 ‘IT강국’ 타이틀…한국, 100대 ICT 기업 중 단 2곳

중국·일본·대만에 순위 밀려

R&D 비율도 주요 美·日 절반 수준

세계 100대 기업 국가별 보유 현황.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세계 100대 기업 국가별 보유 현황.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세계 100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중 한국 업체는 단 2개에 불과해 우리나라는 ICT 강국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계 ICT기업 시가총액 100대 회사를 뽑아 분석한 결과 한국은 중국, 일본, 대만 등 ICT 경쟁국에 모두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미국 기업은 56개로 절반을 차지했고 중국 9개, 일본 8개, 인도 4개, 대만 3개 기업이 포함됐다.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9위, 56위를 차지했다.

향후 100대 기업에 진입할 가능성이 큰 차세대 주자로 구성된 200대 기업까지 범위를 넓히면 중국 기업 수가 27개, 일본은 17개로 대폭 증가했다. 한국은 네이버, 카카오를 포함해 총 5개에 그쳤다.



또 반도체 산업의 시가총액만을 기준으로 선정한 세계 100대 기업에도 한국은 SK하이닉스(11위)와 SK스퀘어(63위) 등 2개만 포함돼 중국(41개), 미국(31개), 대만(15개) 등 경쟁국에 비해 월등히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더욱이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모회사인 투자기업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1개만 포함된 것이라고 전경련은 전했다.

아울러 '기술 하드웨어'로 업종이 분류된 삼성전자를 포함하더라도 반도체 세계 100대 기업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3개에 불과하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이와 함께 우리 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도 7.4%로 미국(17.1%), 네덜란드(15.4%), 일본(13%), 대만(9.5%) 등에 비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19년 3.5%에 불과했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을 2년 만에 13%까지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역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 중인 52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지원법(CHIPS) 통과 시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라고 전경련은 내다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한국이 IT 강국이라지만 세계시장이라는 전쟁터에서의 성적표는 다른 결과를 말한다”며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도 낮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