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반도체 특위, 반도체 인력 현황 점검…“10년간 12만 7000명 공급해야”

반도체 산업 종사자 12만 7000명→30만 4000명 전망

매년 1만 2700명 공급해야…중소·중견기업 인력난 심각

계약학과 설치하고 인재 채용 유인하기 위한 대책 필요

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12일 서강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양향자 의원실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12일 서강대학교에서 열린 국민의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양향자 의원실




국민의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반도체 특위)가 12일 현장 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산업 인재 육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산업계와 학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동안 반도체 산업에서만 12만 7000명의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며 반도체 계약학과 설립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을 주문했다.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중심으로 인력난이 심하다는 점에 착안해 중소기업 인재 유치를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민의힘 반도체 특위는 이날 서강대학교를 방문해 제 3차 현장간담회를 가졌다. 반도체 특위 위원장을 맡은 양향자 의원은 “국회 차원에서 반도체 특위를 운영하는 것에 대해 반도체 업계의 기대가 상당하다”며 “오늘 회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의 로드맵을 세우는 중요한 자리”라고 강조했다. 서강대학교는 SK하이닉스와 반도체 계약학과 개설을 위해 협의 중이다.

관련기사



반도체 특위 위원인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2021년 17만 6509명인 반도체 산업 종사자 규모가 2031년에는 30만 3943명(12만 7434명↑)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 평균 5.6% 늘어나 10년만에 1.76배 증가하는 셈이다. 안 전무에 따르면 학력 별로는 학사 인력 수요가 가장 많고 분야별로는 반도체 설계·장비 부분의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 안 전무는 “업계의 퇴직 인력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10년 동안 13만 명의 인력을 추가로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은 대학 현장에서 원활하게 반도체 인력을 수급할 수 있도록 입학생 감소분 반도체 대학 정원에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이렇게 할 경우 지방균형발전을 위해 도입된 수도권정비계획법의 대학정원 총량제한을 수정하지 않아도 반도체 관련 학과의 인원 충원이 가능해진다.

박 회장은 정부가 주도해 최소 10개 대학에 반도체 대학원 신·증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대학의 부실화를 막기 위해 △졸업생 반도체 기업 취업률 기준 준수 △반도체 관련 전공 설치 및 운영 여부 확인 △강의 및 실습 가능한 설비 지원 △전임교수 확보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그는 “대만의 경우 주요 대학에서 계약학과를 운영하는 등의 방식으로 매년 1만 명의 인력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은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중”이라며 “대학에서 반도체 관련 수업을 늘리려 해도 교원 인력 부족이 심각하니 이 부분도 교육부가 해결책을 내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업 인재 채용 지원은 중소기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삼성전자나 SK 하이닉스 등 대기업은 충분히 인력을 수급하는데 비해 처우가 열악한 중소기업이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박 회장은 구체적인 방안으로 △스톡옵션 제도 개선 △중소·중견 기업 근로자 소득세 감면 △지방정부의 주택 특별공급 방안 마련 등의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