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하루 10만~20만명 확진 대비, 의료체계 재정비해야"

전문가들 병상확보 등 강조

13일 서울의 한 보건소 건강센터에서 보건소 관계자가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 관련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13일 서울의 한 보건소 건강센터에서 보건소 관계자가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 관련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의 코로나19 재유행세라면 9월 중순 하루 20만 명가량의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는 방역 당국의 예측이 나왔다. 정부의 추산대로라면 추가 병상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10만~20만 명의 확진자가 나올 경우를 대비해 의료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방역 당국은 13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의료 대응 방안’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유행 전파율에 따른 세 가지 시나리오를 공개했다. 전파율을 가장 낮은 21.5%로 가정하면 10월 10일 최대 16만 5700명 규모의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파율을 31.5%로 설정하면 9월 26일 18만 4700명 규모가 정점이 될 것으로 봤다. 전파율을 가장 높은 41.5%로 가정할 경우 9월 16일 최대 20만 6600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당국은 앞서 올해 4월 하반기 재유행은 11월 중 약 16만~17만 명 규모가 정점이 될 것으로 봤다. 이에 비해 정점에 이르는 시점은 앞당겨졌고 전파율 31.5% 이상의 경우 규모도 커졌다. 현재 확보하고 있는 5800여 개의 병상으로는 일 신규 확진자 14만 6000명까지 대응이 가능하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따라서 당국은 일 20만 명 확진 시 총 1405병상 추가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 확진자 10만~20만 명이 나올 경우를 대비해 의료 대응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백순영 가톨릭의대 명예교수는 “지금보다 원스톱 의료기관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며 “산모 등 특수 환자를 위한 병상의 추가 확보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대면 진료를 확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초기에 이부실드 같은 항체 치료제를 투여하면 치료 효과가 80~90%에 육박한다”며 “대면 진료가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재훈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4차 접종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중증화를 막기 위해 치료제도 적절하게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이 개인 방역 수칙을 잘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