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5월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 0.24%…"전달과 비슷한 수준"

대출 만기 연장 등 조처로 낮은 수준 유지

가계 주담대 연체는 비슷…신용대출 연체율은 소폭 상승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대출 만기 연장 조치 등에 따라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 실질적인 채무부담이 줄어든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5월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24%로 전달(0.23%)와 유사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서는 0.08%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신규 연체 발생액은 1조원으로 전달보다 1000억원 늘었으며 연체 채권 정리규모는 9000억원으로 전달대비 3000억원 늘었다.

관련기사



기업대출 연체율은 0.27%로 전달(0.28%)과 비슷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8%로 전달보다 0.04%포인트 하락했으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달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도 0.01%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9%로 조사됐다. 전달보다 0.01%포인트 상승해 안정적인 수준이 이어졌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달과 같은 0.11%로 집계됐지만 신용대출 등 주담대 이외 가계대출 연체율이 0.38%로 전달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원화대출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경우를 기준으로 삼는다. 아직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 유예 조치가 적용 중이라 연체율은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겉보기와 달리 채무부담 리스크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 금융권 안팎의 시각이다. 실제로 1금융권 대출은 줄어드는 모습이지만 저축은행 등 2금융권과 비은행권 대출은 늘어나고 있으며 다중채무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