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형 일자리' 주축 기업 코렌스EM·코렌스, 기술유출 혐의

직원 영입·영업 비밀 탈취 등 요지

코렌스 "사실 아냐" 법적 대응 예고

'부실 논란' 사업 좌초 위기 커져

기술 유출을 둘러싼 SNT모티브와 코렌스EM의 반박 자료. 조원진 기자기술 유출을 둘러싼 SNT모티브와 코렌스EM의 반박 자료. 조원진 기자




부실 추진 논란을 빚고 있는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의 주축 기업인 코렌스EM과 모기업 코렌스가 불법 기술유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는다. 수사 결과에 따라 가뜩이나 부실 의혹이 커지는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이 좌초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SNT모티브는 코렌스EM과 코렌스를 부정경쟁방지법위반 등의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코렌스EM이 전기차 핵심 부품인 전기모터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SNT모티브 직원 20여명을 영입하고 원천기술을 탈취했다는 게 고소의 요지다.

SNT모티브는 조용국 코렌스 회장의 아들이자 코렌스EM 대표를 맡고 있는 조모 씨가 기술 탈취의 연결 고리로 보고 있다. 조 씨는 병역특례로 SNT모티브 기술연구소 모터개발팀에서 약 3년간 근무한 후 2015년 3월 퇴사했다. 2016년부터는 코렌스 공동대표로 근무했고 2019년 9월 전기차 동력 부품을 만드는 부산형 상생일자리 사업을 위해 신설된 코렌스EM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부산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조성될 부산형 일자리 미래차부품단지 조감도. 사진 제공=부산시부산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조성될 부산형 일자리 미래차부품단지 조감도. 사진 제공=부산시



SNT모티브 측은 “조 씨가 코렌스 공동대표가 된 2016년부터 전기모터 핵심 기술이 다량 유출됐다는 자료들을 발견해 고소했다”며 “현재 재직 중인 직원들과 영업비밀 및 지식재산권, 고객과 주주들의 이익 등을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법적 검토를 마친 뒤 고소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코렌스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코렌스의 한 관계자는 “SNT모티브에 대해 명예훼손,과 무고 등의 혐의로 고소하는 등 사활을 걸고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코렌스EM은 전기차 핵심 부품 기술력을 앞세워 지난해 2월 부산형 상생 일자리 사업에 선정됐다. 하지만 당초 코렌스EM이 BMW에 공급하기로 했던 400만대 규모의 전기차 동력부품이 사업 선정 전에 파기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코렌스EM은 미국과 중국 자동차업체에도 121만대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지만 이마저도 파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기업간 기술유출을 둘러싼 분쟁이기 때문에 경찰 수사를 지켜봐야 하는 상황”며 “향후 수사 및 재판 결과에 따라 코렌스EM에 대한 조치를 결정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