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의협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이끌 정호영 교수 "전문성 살려 국민 건강에 기여할 것"

장관 후보자 사퇴 후 정보의학전문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위촉

비대면진료·의학정보원·전자처방전 등 디지털헬스케어 현안 대응 총괄

30년 전에도 의협 정보전산소위원회로 활약…의료IT 전문가로 정평

정보의학전문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위촉된 정호영 교수가 위원회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북대병원정보의학전문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위촉된 정호영 교수가 위원회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북대병원




"비대면 진료 뿐이겠습니까. 전자처방전,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보건의료계가 풀어야 할 정책 과제가 한둘이 아닙니다. 국민 건강을 지키고 합리적 의료정책이 추진되려면 전문성을 갖춘 의료계가 앞장서야지요. "



대한의사협회 정보의학전문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위촉된 정호영(62·사진) 경북의대 교수는 최근 서울경제와 만나 "책임이 막중한 자리라 어깨가 무겁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의협은 지난 7일 산업구조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을 선도하겠다며 정보의학전문위원회를 발족시켰다. 비대면 진료부터 의학정보원 설립·EMR(전자의무기록시스템) 인증·의료플랫폼 구축·공적 전자처방전 등에 이르기까지 현안 별로 움직이던 대응 채널을 일원화하고, 효율성을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경북대병원장 출신으로 윤석열 정부의 초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가 사퇴한 정 교수가 의협의 정책 수장을 맡자 다소 의아하다는 시각도 있다.



정 위원장은 "의사로서 국민 건강을 지키고 국민들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는 신념에는 변함이 없다"며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자는 제안에 부족하나마 힘을 보태기로 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2002~2004년 미국 조지타운대에서 의료정보학을 연수받았다. 경북대병원장 시절에는 대한의료정보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는 경북의대 의료정보학교실 주임교수 및 외과학 교수로 활동 중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그를 오랜 세월 알고 지낸 지인들 사이에서는 그런 이력을 언급하는 것조차 새삼스럽다. 의대 동기들 사이에서는 일찍이 컴퓨터 좀 하는 인물로 통하기 때문이다. 대학 진학 당시 의대와 공대를 두고 고민했다는 그는 PC(개인용 컴퓨터) 초기 시장이 열릴 무렵 IBM·애플의 매력에 빠지며 소위 'IT(정보통신) 덕후'의 길을 걸었다. 직접 부품을 사 컴퓨터를 조립하는 것은 기본이고 수준급 코딩·프로그래밍 실력을 갖췄다고 알려지며 의협의 러브콜을 받았던 전례도 있다. 의협 초대 정보전산 소위원회로서 국내 첫 진료비 전자청구시스템(EDI)을 구축한 멤버였던 것. 정 위원장은 “군의관 제대 후 적십자병원에 근무하던 시절이니 벌써 30년 가까이 되었다”며 "갑작스러운 연락을 받고 긴장한 상태로 의협에 갔더니 안철수 국민의 힘 의원을 포함해 젊은 의사 4~5명이 있었다"고 회고했다. 새마을호를 타고 한 달에 한번 꼴로 의협에 가는 생활을 1년 넘게 지속하면서도 진료비 청구를 전산화하는 데 기여한다는 생각에 신나고 뿌듯했다는 게 그의 기억이다.

국내 1호 의료정보학교실을 개설할 정도로 전산화 투자의지가 강했던 경북대병원에 합류하며 그의 의료 IT 전문성은 한층 강화됐다. 의료정보학이 발달한 미국 조지타운대에서 2년간 연수하며 '미래의 수술실'을 주제로 연구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정 위원장은 "미국은 20년 전부터 국비를 들여 만성질환자의 원격진료와 재활로봇, 원격수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놀랐다"며 "정보통신기술로 세계 각 국의 감염병 발생을 감지하는 연구는 다소 의아하다고 여겼는데 이번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무릎을 쳤다"고 말했다. 그렇게 쌓인 경험과 지식이 경북대병원과 의료정보학회를 이끄는 자양분이 된 셈이다.

정 위원장이 이끄는 정보의학전문위원회는 의협 측 인사를 포함해 정보의학 현업에 있는 30명 내외의 학계, 산업계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지난 7일 열린 1차 회의에서는 비대면 진료·헬스케어 데이터·전자처방전 등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정책 전반의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각 현안들이 밀접하게 얽혀있는 만큼 시급성과 정부 정책 방향, 의료환경에 미칠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추진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현재 사회적 관심이 가장 뜨거운 사안은 단연 비대면 진료의 법제화 여부다. 본래 이 달 중 의·정협의체가 재가동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당분간은 구체적 일정을 기약하기 힘들어졌다. 장관 후보자 시절 제도화 필요성을 시사하기도 했던 그는 "필요한 시점이 오면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으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다만 개원의사들이 우려하는 상급종합병원 쏠림 등을 막아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분명한 소신을 밝혔다. 자칫 상급종합병원 진료가 꼭 필요한 환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의료진의 피로가 불필요하게 가중될 수 있다. 그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라도 (비대면 진료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며 차츰 안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정 위원장은 "그동안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국민들이 체감할 만한 정책 성과를 달성하지 못한 가장 큰 배경은 현장을 이해하지 못한 데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들의 건강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으고 의료계의 발전적 변화를 이끄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