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권성동, 사적채용 논란에 "父·子 별개…정말 잘못된 프레임"

연금·노동·교육 3대 개혁 반드시 추진해야

국회의장, 개헌특위 구성 제안에 '반대' 뜻

"연금개혁 위해 여야정 협의체 구성해야"

"입법부-행정부 긴장관계 조성에 방점둘것"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7일 대통령실 사회수석실의 9급 행정요원 우모 씨를 둘러싼 ‘사적 채용’ 논란을 두고 “정말 잘못된 프레임”이라며 “일반직 아닌 별정직 공무원”이라고 해명했다.



권 대행은 이날 국회에서 ‘원내대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9급 행정요원 우모 씨의 부친이 강릉 선관위원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느냐’는 질의에 대해 “알고 있었다”이라며 “아버지가 선관위원이라고 해서 아들이 특정 정당의 정치인을 지지하지 말란 법은 없다. 아버지와 아들은 별개”라고 강조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앞서 우씨의 부친이 윤석열 대통령과 오랜 인연을 쌓아온 것으로 전해진 강릉 소재 통신설비 업체 대표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적 채용 논란이 일었다. 권 대행이 우씨를 자신이 추천했다고 밝힌 가운데 우 씨의 부친이 강릉시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민주당 ‘사적 채용' 비판 커졌다.



권 대행은 “이 직원도 대선 과정에서 선대위, 인수위 과정에서 워낙 열정적으로 일하고 자세도 바르고 대선 기여도도 높아 제가 추천했다”며 “이걸 가지고 사적 채용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일반직·별정직 공무원 채용 절차와 방법, 관행에 대해 전혀 모르는 국민을 호도하기 위한 프레임”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역대 정부에서도 별정직 공무원은 개별 추천을 통해 고용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청와대 비서실장 등 청와대 직원 대부분은 별정직이며 채용 특혜라는 말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일반직 공무원은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일정 요건과 절차가 있다. 그걸 어기면 분명 문제”라면서도 “(별정직은) 일 해본 사람들 중에 뽑기 때문에 채용 절차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권 대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연금·교육·노동 3대 개혁을 서둘러 완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금·노동·교육개혁은 누구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표 떨어질까 봐 두려워 지금까지 미뤄왔다”며 “ 인기 없는 주제로 할지라도 국가의 미래를 위해, 여야가 함께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아야 한다”고 했다.

특히 연금 개혁을 두고는 “국민연금은 한국 사회의 시한폭탄이 됐다”며 “여야 협치를 넘어선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해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헌절 기념식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이 제안한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해선 반대 의사를 피력했다. 권 대행은 “집권 초기이기 때문에 정부가 새로운 정책, 새로운 힘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시기다. 개헌특위가 구성되면 모든 초점이 거기로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며 “개헌특위를 구성해 (개헌을) 논의할 때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정부와 건강한 긴장관계 조성에도 방점을 두겠다고 했다. 권 대행은 “정부와 여당은 협력 관계지만 입법부와 행정부는 긴장관계"라며 "앞으로도 건강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공개 직언을 한 적도 있고 직접 대통령을 만나 자주 소통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