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케이카, 공매도 연일 20%…지수편입 '악몽'

◆공매도 사냥감 된 코스피200 신입생

일진하이솔루스 등 비중 두자릿수

코스피 전체 2% 비해 월등히 높아

표적 된 기업들 주가 급락하자

개미들 "한시적 금지를" 목소리

일각선 "상관관계 없다" 의견도


움츠러든 증시 환경 속에서 과거 호재로 꼽혔던 ‘코스피200·코스닥150 지수 편입’이 악재가 되고 있다. 약세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수 편입 종목에 대한 공매도 세력의 집중 공격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한국 증시가 공매도 세력의 놀이터가 되고 있다며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200지수에 정기편입된 7개 종목의 평균 공매도 거래 비중은 10~22%로 나타났다. 코스피 전체(2.12%) 및 삼성전자(005930)(1.77%)에 비해 월등히 높은 규모다. 케이카(381970)가 22.47%로 가장 높았으며 일진하이솔루스(271940)(19.53%), 하나투어(039130)(18.88%)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케이카는 6월 말 공매도 비중이 연일 40%를 넘긴 데 이어 지난주에도 20% 후반대의 공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몸살을 앓았다.



코스피200 지수는 코스피에 상장된 보통주 중 시가총액이 높은 대형주 위주로 구성된 지수다. 매년 두 차례의 정기 변경을 거치는데 신규 편입이 기대되는 종목들은 주가가 오르는 경향이 높았다. 지수에 편입될 경우 지수를 추종하는 글로벌 펀드 등 수십 억원 규모의 패시브 자금이 유입돼 수급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최근에는 지수 편입이 분명한 악재가 됐다. 지수 편입과 동시에 공매도가 허용되면서, 공매도 세력의 집중 공격을 받는 일들이 반복된 것이다. 공매도는 고가에 주식을 빌려서 판 후 주가가 내린 후 사서 되갚는 방식이기에 주가가 하락하면 수익이 난다. 특히 하락장에서 공매도 거래가 늘어나면서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 경향이 높은데, 실제 코스피가 6월 이후 2200선까지 후퇴할 때 공매도 역시 크게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4월 코스피의 공매도 거래량 비중은 0.90%에 불과했으나 지난달 1.66%로 두 배 이상 증가한 이후 이달에는 15일까지 평균 2.12%까지 급증했다.

이처럼 공매도의 표적이 된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하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공매도를 잠시라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이후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와중에 한국 증시가 유독 낙폭이 컸던 원인을 공매도에서 찾는 분석도 나오는 중이다. 퀀트 기반 서비스인 퀀트케이의 한 관계자는 “데이터를 살펴보면 코스피가 하락할 때 전체 거래량 대비 공매도 거래량이 월등히 증가하는 ‘공매도 폭탄’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며 “과거에는 기업들이 코스피200·코스닥150지수에 편입되면 수급 개선 기대감에 호재로 받아들였지만 현재는 공매도 세력들의 타겟으로 전락하면서 큰 폭으로 주가가 하락하는데다, 때로는 공매도 숏커버링으로 급등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공매도와 지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없으며 주가가 급락한다고 해서 공매도만 제한하면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반박도 있다. 개별 주식의 적정 가치를 찾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등 공매도 제도의 순기능이 존재하는데, 주가가 하락한다고 해서 공매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위기로 글로벌 증시가 위기를 맞자 미국·일본·영국 등 주요국은 공매도를 금지하지 않았다. 유럽연합(EU) 등 공매도를 금지한 다른 국가도 대부분 공매도를 재개했다. 현재 공매도를 완전히 재개하지 않은 국가는 한국과 인도네시아뿐이다.

한편 금융 당국은 윤석열 정부의 ‘금융시장 선진화’ 국정과제 이행계획에 따라 공매도 제도 보완에 착수했다. 국정과제 이행과제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개인의 담보비율을 현행 140%에서 외국인·기관(105%)과 맞는 수준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주가 낙폭이 과도하면 일정 기간 공매도를 금지하는 제도의 도입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기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