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7.1조 혈세투입 된 대우조선해양…무단점거 31일만 “1조 넘게 피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손실 규모

선박 건조 연기에 협력사 줄폐업

해외선주엔 '지체보상금' 위기도

파업 확산조짐…조선업 전전긍긍






대우조선해양(042660)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의 불법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1조 원 이상에 달하는 유무형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1조 원에 육박한 매출·고정비 손실이 났고 협력사 폐업이 잇따르면서 실업이 늘어났으며 조업 중단에 따른 대다수 근로자의 임금이 삭감됐다. 무엇보다 선박 건조·인도가 늦어지면서 모처럼 호황을 맞은 우리나라 조선업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하청지회의 불법 파업 장기화로 현재까지 9920억 원 안팎의 손실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진수 지연에 하루 260억 원의 매출 감소와 60억 원 규모의 고정비 손실이 발생한다고 추산하고 있다. 지난달 18일 임금 30% 인상, 단체교섭 요구 등으로 하청지회가 1도크의 진수를 막아서면서 단순 계산으로도 1조 원에 육박한 손실이 난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업의 장기 불황과 분식회계 사태로 경영난을 겪으면서 산업은행 등으로부터 2015년 이후 7조 1000억 원의 혈세 지원을 받았다. 불과 한 달여의 도크 점거로 혈세 지원 금액의 15%에 해당하는 손실이 발생한 것이다. 50여 년간 한 번도 멈춰선 적이 없는 1도크가 중단되면서 인도 일정 미준수로 인한 지체 보상금도 물어낼 위기에 처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인도 지연에 따른 보상금은 계약상 불가항력 조항이 있어 선주와의 협의를 통해 월 130억 원 규모의 보상금을 물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해외 선주의 경우 다른 기업들과 용선 계약을 해놓아 선박 인도가 늦어지면 해외 선주가 얻을 수 있는 기대 이익도 보상금에 포함돼 지급해야 할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다.



불법 파업 장기화는 협력사들의 폐업과 대다수 근로자들의 실제 생계 위협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협력사 3곳이 폐업했고 이달에는 4개사가 폐업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사 폐업에 따라 상당수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또 대우조선해양은 정규직 근로자와의 협의를 통해 이날부터 19일까지 휴업을 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직원 420명이 휴업 대상인데 당장 3개월 평균 임금의 70% 수준인 급여만 받게 된다. 하청지회의 불법 파업이 장기화되면 휴업 대상과 기간은 더 넓어질 수 있어 대다수 근로자들의 생활이 곤란해지게 된다.

최근에는 해외 선주들이 현장에 보낸 감독관들이 불법 파업 상황을 직접 촬영해 현지에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선주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체 보상금을 요구하기 위한 현장 영상 수집일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설립 이후 첫 도크 중단 소식이 전 세계에 퍼지면서 발생한 한국 조선에 대한 신뢰도 문제도 막대한 무형의 손실이다. 회사 측은 최근 불법 파업 장기화로 인해 인도가 늦어지고 있다는 공식 레터를 해외 선주들에 발송했으며 해외 선주들도 이에 따른 대응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는 중국도 과거에는 1~2개 조선소만 가능했지만 최근에는 다른 조선소들도 수주전에 참여하며 추격하고 있다”며 “특히 중국의 기술력이 다소 떨어져 LNG 운반선 가격 역시 과거 한국보다 20%가량 저렴했지만 최근 기술력이 높아지며 거의 비슷한 가격에 수주하고 있다”고 전했다. 당장은 우리나라의 LNG 운반선 건조 기술력이 중국보다 뛰어나지만 중국에는 없는 과격한 불법 파업으로 받지 않아도 될 ‘디스카운트’를 받는 것이다.

조선 업계 관계자는 “하청지회의 요구가 수용되면 다음 목표는 현대중공업(329180)이라는 얘기가 속속 들리고 있다”며 “실제 현대중공업 노조가 사측에 최근 제시한 공동 요구안에 하청노동자 처우 개선 등이 포함되는 등 국내 주요 조선소들이 불법 파업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