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323990)의 진행성 간암 세포치료제 임상 연구가 속도를 내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임상 2a상이 종료되면 조건부 허가 신청, 기술 수출(라이선스 아웃) 등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Vax-NK 임상에서 완전 반응률이 36.4%를 기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현재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박셀바이오 주식은 18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전일 종가 대비 29.98% 오른 5만 4200원에 거래됐다. 거래량은 342만 주가 넘었다. 전날 0.71% 내린 2만 4만 1700원, 거래량 17만 4340주에 거래를 마친 것에 비하면 주가는 상승 반전했고 거래량 폭증했다.
앞서 박셀바이오는 지난달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Vax-NK 임상2a상 12번째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 현재 전국 주요 병원 5곳서 임상을 진행 중이다.
Vax-NK는 박셀바이오가 개발한 자가유래 자연살해(NK) 세포치료제이다. 임상1상 연구에서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HAIC)과 병용요법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했다. 11명의 환자 중 4명에서 완전반응 판정을 받아 현재 표준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라페닙보다 월등히 높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 박셀바이오 관계자는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11명 중 4명의 종양이 완전히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완전 반응률은 36.4%”라고 설명했다. 간암 1차 치료제로 쓰이는 소라페닙, 렌바티닙의 완전 반응률이 각각 0.4%, 1.3%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수치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Vax-NK 임상2a상 임상 연구가 계획대로 속도를 내고 있다”며 “연구 결과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기대에 부응하고자 임상 연구자가 분석한 10~12명 환자에 대한 예비연구결과를 3분기 중으로 학회 등을 통해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셀바이오는 Vax-NK를 대체할 치료제는 없다고 보고 신속처리 대상 지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임상 2b 진입과 동시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국내에는 제품을 직접 출시하고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는 라이센스 아웃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Why 바이오는=‘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특히 해당 기업 측 의견도 충실히 반영해 중심잡힌 정보를 투자자와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에게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