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초등생 국어·수학 10% '뚝'…미래인재 '뿌리'가 흔들린다

■ KDI '코로나發 학력저하 현실화' 논문

학부모 1000명 대상으로 조사

저소득층 더 심각…대책 시급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에서 초등학생이 원격 수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에서 초등학생이 원격 수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학부모들이 코로나19로 초등학생 자녀의 국어·수학 학력 수준이 7~10% 저하됐다고 본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저소득 계층일수록 기초학력 저하가 심각했으며 사회성 부족에 대한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저하가 분명한 만큼 정확한 학력 평가 체계를 갖추고 대응책을 하루 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18일 한성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이 한국응용경제학회 학술지에 게재한 ‘COVID-19가 학습 및 생활에 미친 영향:초등학생 중심으로’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환경 변화로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 수준이 코로나19가 없었다고 가정했을 때보다 1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읽기 7%, 국어 쓰기 10%, 국어 말하기 7.5% 등 국어 능력도 떨어졌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2월 중순부터 약 한 달간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초등학생은 학업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만한 시험을 치르지 않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할 뿐 아니라 스스로 설문에 답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조사 방식이다.

이성호 중앙대 교육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때 학습 태도나 논리적인 사고 습관 등을 형성하지 않으면 중고등학교를 거쳐 대학교로 갈수록 문제점이 누적되고 증폭돼 나타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과 함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