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제2 캠퍼스 부지 계약…"7조원 투입해 CDMO '초격차' 완성"

기존 부지보다 30% 큰 11공구 확보

CDMO 수요 대응해 생산능력 2배 확충

"'세계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

성용원(왼쪽부터)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청장직무대행 차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가 18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인천시와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계약 체결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성용원(왼쪽부터)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청장직무대행 차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가 18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인천시와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계약 체결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기존 생산시설에서 규모를 2배 이상 키울 수 있는 송도 제2 바이오캠퍼스 부지를 확보했다. 총 7조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세계 1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초격차'를 완성하겠다는 전략이다.



18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시와 인천시청에서 유정복 인천시장과 존림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송도 11공구 산업시설용지 35만 7000㎡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매매대금은 4260억원 규모로, 현재 사용 중인 송도 5공구 제1바이오캠퍼스 보다 면적이 30% 더 크다.

관련기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신규 부지에 추가적인 생산 시설을 건설해 글로벌 CDMO 시장에서 경쟁사들이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만들 구상이다. 총 사업비 7조 원을 투입해 송도 11공구 제2 캠퍼스에 4개 공장을 건립하며 현재 제1 캠퍼스보다 더 큰 생산설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생산설비를 추가 확보해 명실상부한 ‘세계 1위 CDMO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목표를 밝혔다.

늘어난 생산시설로 급증하는 글로벌 CDMO 수요에 대응한다는 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1캠퍼스에 1, 2, 3공장을 설립해 가동 중이고, 올해 10월 부분 가동 예정인 4공장까지 완공되면 세계 1위인 총 62만ℓ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미 기존 공장은 '풀가동' 중이고 올해만 총 6건의 수주 계약(7,641억 원)을 체결해 지난해 전체 수주 금액의 60%를 초과하면서 추가 생산 시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제2 캠퍼스 건립으로 연평균 400명의 고용창출도 전망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0년 후인 2032년에는 총 4000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되며, 협력사와 건설인력 5000여 명을 포함할 경우 총 1만여 명의 고용창출을 예상했다. 제2 바이오캠퍼스에는 생산시설뿐만 아니라 바이오벤처 육성 공간인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를 건립해 글로벌 연구개발(R&D), 분석 서비스 시설을 구축해 R&D 역량도 강화하기로 했다. 존림 대표는 "차질 없이 투자계획을 이행해 글로벌 바이오의약산업을 선도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4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제1 바이오캠퍼스와 신규 부지 매입계약을 체결한 11공구 전경.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4공장을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제1 바이오캠퍼스와 신규 부지 매입계약을 체결한 11공구 전경.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