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韓 ICT 기술 5건 국제표준안 채택

5G·클라우드·양자암호통신 등 ITU 회원국 이견 없을시 최종 결정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주도로 개발한 국제 표준안 5건이 채택됐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4일부터 15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미래네트워크 연구반(SG13) 회의에서 5G·클라우드컴퓨팅·양자암호통신 분야 관련 국제 표준안 5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밝혔다. 사전 채택은 표준의 최종 채택 직전 단계로 회원국 등의 회람을 통해 이견이 없을 경우 최종 채택으로 이어진다.

관련기사



사전 채택된 5건은 △5G(IMT-2020) 등 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지터(jitter·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지연 시간 변화량) 상한 보장 프레임워크 △멀티클라우드 기능 요구사항 △분산 클라우드 글로벌 관리 프레임워크 △양자키분배네트워크(QKDN) 네트워크 품질 보장 기능 구조 △기계학습(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반 양자키분배네트워크(QKDN) 네트워크 품질 보장 요구사항 등이다.

우리나라는 차세대 통신 관련 표준 제개정 활동 연구그룹인 SG13의 산하 조직의 국제의장단 11석도 확보했다. 이 중 9석은 재선임된 것이고 클라우드·빅데이터 분야 작업반과 우리나라 주도로 신설된 머신러닝 공동조정그룹(JCA-ML) 의장단 등 2석은 추가로 진출했다.

국립전파연구원은 “향후에도 산·학·연과 협력하여 양자·우주·6G·인공지능·클라우드 등 미래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국제표준(안) 사전 채택 목록.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국제표준(안) 사전 채택 목록.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