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서해 피살' 관련 첩보부대원 조사

시민단체, 살인죄 혐의 文 고발

고(故) 이대준 씨의 형 이래진 씨가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중앙지검에서 민원실로 향하고 있다. 오른쪽은 유가족 측 변호인 김기윤 변호사. 연합뉴스고(故) 이대준 씨의 형 이래진 씨가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중앙지검에서 민원실로 향하고 있다. 오른쪽은 유가족 측 변호인 김기윤 변호사. 연합뉴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군 기밀·첩보 보고서 삭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SI(특별 취급 정보) 수집을 담당하는 첩보 부대원들을 불러 조사했다. 시민 단체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사건과 관련해 살인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이날 군의 SI 수집·지원 등을 관장하는 첩보부대 777사령부 소속 부대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777사령부는 북한군 통신을 감청해 확보한 신호정보(SIGINT·시긴트)를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MIMS·밈스)를 통해 국방정보본부·한미연합사령부·합참·국방부 등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국방정보본부 예하 조직이다. 한국군과 미군이 합동 근무한다.

관련기사



국방부는 2020년 9월 22일 해양수산부 직원이었던 고(故) 이대준씨가 북한군 사격으로 피살된 뒤 ‘자진 월북 추정’이라고 발표하면서 밈스 내 감청 자료 등 기밀 정보를 삭제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날 조사에서 이 씨의 피살을 전후해 밈스에 공급된 정보와 삭제된 정보, 그 성격 등을 추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과 북한인권단체총연합 등 7개 단체는 탈북 어민 귀순 사건과 관련해 문 전 대통령을 살인죄 등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고발장에는 귀순 어민들이 강제 북송될 경우 처형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고도 문 전 대통령이 이들을 북한에 넘겨 살인의 미필적 고의가 인정된다는 주장이 담겼다. 한변 등은 또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음에도 어민들을 추방해 북한의 국제법상 반인도 범죄의 공범 역할을 했다고 보고 국제형사법 위반 혐의도 고발장에 기재했다.

이번 고발 건은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이준범 부장검사)에 배당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수사3부는 현재 나포된 북한 어민 2명이 정부 합동 조사단과 통일부에 제출한 ‘보호 신청서’와 ‘자기 소개서’를 국정원 압수수색으로 확보해 조사하고 있다.


이진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