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지구의 허파' 아마존이 죽어간다…1초에 18그루 사라져

아마존 산림 60% 파괴…작년 사라진 숲 면적 20%↑

열대우림 파괴의 주요 원인은 농업·목축업·도시확장

강수량 감소, 에너지 가격·기온 상승 등으로 이어져

지난달 6일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마나우스와 마니코어를 비행하다 발견된 아마존 열대 우림의 삼림 벌채 지역. AFP연합뉴스지난달 6일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마나우스와 마니코어를 비행하다 발견된 아마존 열대 우림의 삼림 벌채 지역. AFP연합뉴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브라질 아마존 숲에서 지난 한 해 동안 1초당 18그루꼴의 나무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비정부기구와 대학, 기업 등이 협력해 브라질 영토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브라질에서 총 1만6557㎢(165만㏊)의 숲이 사라졌다. 2020년(1만3789㏊)보다 20% 증가한 수치로, 아마존에서만 산림의 60% 정도가 파괴됐다.



이는 지난해 아마존에서만 시간당 111.6㏊의 산림이 파괴된 것으로, 환산하면 1분에는 1.9㏊, 1초에는 약 18그루의 나무가 사라진 꼴이다.

관련기사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파괴된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은 3987㎢로, 연구소가 집계를 시작한 201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브라질 아마존 숲에서 1초당 18그루꼴의 나무가 사라졌다.‘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브라질 아마존 숲에서 1초당 18그루꼴의 나무가 사라졌다.


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는 삼림 파괴의 주요 원인이 농업 및 목축업이라고 밝혔다. 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가 위성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2019년과 2021년 사이 삼림 파괴 지역의 97.8%는 농업·목축업 활동 지역이며, 광업과 도시 확장 역시 산림 파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여러 환경단체들도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정권이 보호 구역에서의 농업·광업 활동을 권장하고 연구·보호 기능을 약화시켜 열대우림 파괴를 부추긴다고 비판한 바 있다. 실제로 AFP통신은 열대우림 파괴가 2019년 1월 보우소나루 취임 이후 10년 전보다 75% 증가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마피비오마스 프로젝트 타소 아제베두 코디네이터는 “산림 파괴는 강수량 감소와 에너지 가격 및 기온 상승, 농작물 피해, 화재, 주민 건강 악화 등으로 이어진다”며 가속화되는 열대우림 파괴에 우려를 표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