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에서 탄소 중립과 바이오헬스 등 국가적으로 필요한 연구를 해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합니다.”
18일 대전 대덕연구단지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열린 ‘제1회 국가연구소 기업가정신 토크콘서트’ 화학연편에서 벤처·스타트업 대표들은 기후위기와 감염병 등 국가적 난제를 푸는 데 연구 현장에서 앞장서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백재현 에이올코리아 대표는 “대기업에서는 의사 결정이 오래 걸리고 당장 팔 수 있는 것에 집중한다”며 “창업한 뒤 화학연에서 다공성 신소재(MOF) 기술을 이전 받아 대량생산 체제를 준비하며 미국 등 해외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신소재가 기존 제습 소재 대비 3~20배의 표면적을 더 흡착해 MIT 등 미국 보스턴 쪽보다 2년가량 빠른 수준이라고 했다. 백 대표는 “앞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차원에서 탄소 중립을 위해 MOF 소재를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소재 등 다양한 응용처를 연구 중”이라며 “올해 140억 원의 매출 중 10억 원의 수출을 기대한다”고 주먹을 불끈 쥐었다.
이에 장경호 코스닥협회장(이녹스첨단소재 대표)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기술특례 상장을 잘 지원하겠다”며 격려했다.
기술 이전 우수 사례인 장태선 화학연 책임연구원은 “공장 등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반응시켜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촉매와 공정을 개발했다”며 “원천기술을 확보해 기술 실증까지 하고 기업에 기술을 넘겨 추가적인 기술 실증과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촉매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밝힌 그는 기업에서 현재 울산에 5000톤급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고 전했다. 장 박사는 “공장 외에도 선박이라든지 다양하게 탄소 중립 분야에 쓸 수 있고 수출까지 기대하고 있다”며 “원천 연구부터 상용화까지 가려면 산학연 간 신뢰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항암면역치료제를 개발 중인 이창훈 에스씨바이오 대표(화학연 책임연구원)는 “암세포의 성장을 도와주는 뒤틀린 면역계를 정상적으로 돌리는 플랫폼 기술로 기존 항암제와는 결이 다르다”며 “특히 면역 쪽에 강점을 가진 연구원들이 20여 명 정도 되는데 하반기 전 임상에 들어갈 물질을 2개나 개발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현재 3년간의 창업 겸직 기간을 넘겨 3년간 창업 휴직에 들어간 그는 다만 “내년에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나 바이오 분야에서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붙어 고민”이라면서도 기업가정신(도전정신·모험정신)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초개인화 맞춤 의료 장기 재생 플랫폼을 개발한 유석환 로킷헬스케어 회장은 “바이오 프린터로 몸속에 있는 물질을 활용해 당뇨발을 비롯한 피부, 무릎 연골 등 장기를 재생하는 기술을 개발했고 신장 재생 동물 실험도 하고 있다”며 “치료와 진단 장비의 효과를 높이며 가격을 혁신적으로 낮춘 점이 특징”이라고 뿌듯해 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사장 출신인 그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직접 경쟁해서는 승산이 낮다”며 “바이오헬스 시장에서 아무도 안 하는 틈새시장을 개척하며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출연연과 대학의 연구자가 창업해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하면 누군가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해줄 수 있는 국가적 플랫폼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세포·단백질·약물전달물질·미세플라스틱 등 입자 분석 장비를 개발해 국산화한 김준휘 LTIS 대표는 “화합물 전처리 분석 장비의 미국·일본 등 해외 의존도가 84%에 달하는 등 여러 입자 분석 장비의 국산화율이 매우 낮다”며 “입자에 초점을 맞춰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좋은 국산 장비를 개발하더라도 처음에는 잘 써주지 않는 점이 고민이라고 했다. 이에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은 “연구 장비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R&D) 센터를 만들고 있다”며 지원 의지를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