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역사랑상품권·SRT 승차권 정보 등 공공데이터 민간에 개방

행안부, 21개 분야 공공데이터 추가 개방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공공데이터 개방에 맞춰 국민 생활과 밀접한 금융정보, 생활환경, 재난안전 등의 공공데이터가 추가로 개방된다.

행정안전부는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정보, 주민등록 인구현황 통계, 대학 학과·교과 정보 등 국민 생활에 밀접하고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개방하는 ‘2022년 국가중점데이터 개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우선 금융정보 분야에서는 한국조폐공사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정보’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가맹사업 관련 정보’ 등이 개방된다.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정보와 가맹사업 관련 정보 등의 데이터가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면 지역경제 상권 분석을 비롯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정책 자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생활환경 영역에서는 코레일에 이어 ‘SRT 열차 승차권 발권정보’가 개방된다. SRT 승차권의 진위 여부 및 기간별 승객 현황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어 민간과 공공의 출장비 부정 수령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두는 한편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전망이다. 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국내 대학별 학과 정보 및 교과과정’도 개방된다. 국내 대학의 학과 교과과정과 강의계획서 등의 정보가 개방되면 교육과정 개발과 인재 양성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난안전 영역에서는 근로복지공단의 ‘업무상 질병판정서’와 ‘산재보험 심사결정서’의 정보가 개방된다. 업무상 질병판정서, 산재보험 심사결정서 등의 행정문서 데이터가 개방되면 근로종사자의 권익보호 및 산재보상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자체에서는 경상남도가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 통학로의 교통안전정보를 개방한다.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경남 초등학교 주변의 주요 통학로 보행자 동선, 횡단보도 신호기, 과속 방지시설 등의 개방으로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를 조성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덕수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국민의 수요를 적극 반영해 실생활에 밀접한 데이터를 개방해 새로운 서비스와 사업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공공데이터 수요와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생태계 조성을 통해 국정과제인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