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친환경·고기능 모두 잡았다…삼양사,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양산

난연제 첨가 없이 내충격성 확보

전기전자·자동차·조명 등 시장 공략

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투명 난연 PC 수지와 이를 이용해 얇게 가공한 투명 판넬. 사진제공=삼양사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투명 난연 PC 수지와 이를 이용해 얇게 가공한 투명 판넬. 사진제공=삼양사




삼양그룹의 화학·식품 계열사 삼양사가 난연제를 넣지 않은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PC)를 자체 기술로 개발해 본격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PC는 투명하면서 충격과 열에 강해 자동차와 가전제품 내외장재, 방음벽, 의료기기 부품에 주로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난연 PC는 열이 발생하거나 화재에 민감한 제품에 필수적이다.



통상 업계에선 난연제를 첨가해 투명 난연 PC를 생산하지만 이 경우 PC의 강점인 투명성,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 난연제의 환경 오염도 문제다. 난연제인 염소, 브롬 등 물질은 소각하면 유독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삼양사의 친환경 투명 난연 PC는 2012년 국산화한 실리콘PC를 기반으로 난연제 첨가 없이 물질결합 구조를 변경해 개발돼 저온에서의 충격강도, 내화학성 등이 일반 PC보다 더 뛰어나다. 삼양사는 전주 EP공장, 삼양화성 전주 공장에서 친환경 투명 난연PC를 생산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투명 난연 PC 대비 뛰어난 저온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과 투명성 등을 내세워 전기전자, 자동차 외에도 실외 조명, 실외용 디스플레이, 전기차 충전기, 항공기 외장재, 건물 및 인테리어 내외장재, 의료기기 등 난연성과 투명성, 저온 충격성이 모두 필요한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또 시트, 프로파일 등 1㎜ 내외의 얇은 필름 형태로 가공해도 일반 PC와 동등한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능성 포장재를 비롯해 투명성과 난연성을 요구하는 산업재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삼양사는 친환경 난연 PC 시장 확대를 위해 제품의 베이스 레진(단일 소재로 구성된 플라스틱) 형태로도 타화학 기업들에 공급할 예정이다.

삼양사 관계자는 “삼양사의 친환경 투명 난연 PC는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아 투명하고 얇게 가공할 수 있는 일반 PC의 강점을 유지하고 환경 문제에서 자유롭다”며 “저온 충격성이 강한 실리콘PC를 기반으로 개발돼 건물 외장재, 외부 조명 등 광범위한 범위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