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혈액·소변으로 암 조기진단 가능해진다

KAIST 박현규·정연식 교수팀

다색 양자점 어레이 기술 개발

KAIST의 박현규(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정연식 신소재공학과 교수, 남태원 박사, 박연경 박사.KAIST의 박현규(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정연식 신소재공학과 교수, 남태원 박사, 박연경 박사.




국내 연구팀이 표적 마이크로RNA(리보핵산)를 다중 검출하는 다색 양자점(퀀텀닷) 어레이를 개발했다. 이로써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 방향 결정, 치료 효과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현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정연식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체액으로 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혈액·타액·소변 등 체액에 존재하는 마이크로RNA는 18∼25개 염기 서열로 이뤄진 짧은 RNA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세포 성장·분화와 같은 다양한 세포 활동을 제어한다. 마이크로RNA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여러 질병을 진단하는 차세대 바이오마커(생체 지표자)로 주목받는다.

관련기사



마이크로RNA 다중 검출을 위한 다색 양자점 어레이 모식도.마이크로RNA 다중 검출을 위한 다색 양자점 어레이 모식도.


연구팀은 트랜스퍼 프린팅 기법을 활용해 초고해상도 다색 양자점 어레이를 제작하고 이를 마이크로RNA 분석 기술로 발전시켰다. 이를 통해 표적 마이크로RNA를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다중 검출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에는 마이크로RNA를 검출할 때 주로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기술을 사용해 정량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다중 분석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마이크로RNA는 혈액·침·소변과 같은 체액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체액을 검체로 유전자 변이 등을 분석하는 액체생검의 핵심 바이오마커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번 기술은 암 조기 진단, 치료 방향 결정, 치료 효과 모니터링 등을 위한 기술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