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권력 사유화, 반드시 대가"…'朴 탄핵'까지 꺼낸 박홍근

[교섭단체 대표연설]

"국정지지율 정권말 레임덕 수준"

연설 절반 尹 실정 비판에 초점

與 "文 경제실패 반성 선행돼야"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0일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사적 채용, 측근 불공정 인사 등으로 드러난 대통령 권력의 사유화는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정 지지율이 최근 30%대로 하락한 것과 관련해 “출범한 지 두 달 만에 새 정부의 국정 운영 지지율이 정권 말기의 레임덕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윤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며 거대 야당으로서 정국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대선 이후 첫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대통령 가족과 친인척, 측근 비리는 정권뿐 아니라 나라의 불행까지 초래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연설의 절반가량을 인사 난맥상 등 현 정부의 실정을 지적하는 데 할애했다. 최근 문제가 된 ‘지인 채용’을 비롯해 장관 후보자들의 잇따른 낙마, 검찰 출신 요직 배치, 김건희 여사 관련 논란 등을 일일이 거론했다.



특히 김 여사의 ‘비선 수행’ 논란을 겨냥해 “조용히 내조만 하겠다던 대통령의 부인이 대통령도 어쩌지 못하는 권력의 실세라는 말까지 나와서야 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의 공적 시스템을 무력화한 비선 실세 최순실의 국정 농단은 헌정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졌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대통령 취임 두 달여 만에 ‘탄핵’까지 공개적으로 거론하는 등 원내 1당의 존재감을 부각해 향후 정국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정부 요직에 검찰 출신 측근들이 배치된 것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이 이른바 검찰 출신 ‘문고리 육상시’에 장악됐다”고 날을 세웠다.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 ‘문고리 3인방’에 빗대 인사 난맥상을 꼬집은 것이다. 그는 행정부 장관들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이어갔다. 박 원내대표는 “법무부·행정안전부·국정원 등 권력 기관의 정점에 한동훈·이상민·조상준 등 핵심 측근을 임명했다”며 “대한민국을 마침내 검찰 공화국으로 만든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의 정체성은 ‘진보적 대중정당’으로 규정했다. 당 혁신의 초점을 외연 확대와 중도화가 아닌 진보 의제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법인세 감세로 국가 재정이 축소되는 일은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말하는 등 감세 정책과 관련해 정부·여당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함께한 민주당 정부 5년에 대해서는 반성의 태도를 보였다. 그는 “부동산 가격 폭등은 물론 불평등과 양극화 심화 등 국민 삶을 개선하는 데 부족함이 많았다”면서 “이중적 태도와 행보로 국민께 실망을 드렸다”고 고개를 숙였다.

국민의힘은 연설을 두고 ‘내로남불’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본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날의 경제·민생 위기가 지난 5년 동안의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실패에서 비롯됐다는 점에 대한 진솔한 인정과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마치 출범한 지 두 달밖에 되지 않은 윤석열 정부가 현재의 위기 상황을 초래한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잘못된 태도”라고 반박했다.

박진용 기자·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