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워크데이 "아태 기업들, 코로나 기간 디지털 전환 늦어"…경쟁력 격차↑

클라우드 기반 인사·재무관리 솔루션 기업 '워크데이'

팬데믹 이후 아태지역 기업의 디지털 민첩성 조사

디지털 이니셔티브 조율하고 민첩한 인력 양성 要


코로나 기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DX)에 기대만큼 속도를 내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기업들은 DX에 성공해 사업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들이 상당수여서 기업간 비즈니스 경쟁력이 더 벌어졌다.

20일 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이 '급변하는 비즈니스환경에서 디지털 민첩성을 통한 사업 성공의 극대화'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워크데이코리아20일 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이 '급변하는 비즈니스환경에서 디지털 민첩성을 통한 사업 성공의 극대화'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워크데이코리아




20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워크데이 간담회에서 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이 클라우드 기반 인사·재무관리 솔루션 기업인 워크데이가 팬데믹 이후 아태지역 기업들의 디지털 민첩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지사장은 "워크데이가 시장조사업체 IDC와 아태 지역기업의 디지털 민첩성 향상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과반수가 디지털 전환 기회를 놓친 상태"라며 "팬데믹 기간 IT 도입은 늘어났지만 조사 대상 기업 중 38% 기업만이 디지털 민첩성 고도화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아태지역에서 코로나 사태가 한창인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이뤄졌다. 워크데이는 IDC와 함께 디지털 민첩성 지수(DAI)를 바탕으로 기업을 평가하고 점수·순위를 매겼다. 디지털 민첩성은 기업이 디지털 역량을 활용해 변화무쌍한 사업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이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APAC IDC-워크데이 디지털 민첩성 지수(DAI)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워크데이코리아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이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조선팰리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APAC IDC-워크데이 디지털 민첩성 지수(DAI)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워크데이코리아


이상훈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은 "디지털 민첩성은 기술을 도입하는 것 이상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장은 "팬데믹 이전부터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 커머스와 금융 산업에서는 40% 이상의 기업들이 시장 변화에 발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디지털 사업 모델을 갖췄다"며 "이들 분야의 절반 가량의 기업들은 디지털 이니셔티브를 이행할 수 있는 인력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년간 팬데믹 이전부터 디지털 전환에서 앞서 나갔던 기업들의 디지털 민첩성 지수(DAI) 개선도가 더 높았다. DAI 순위에서 1위는 호주 기업들이 차지했다. 호주 기업들은 2년 전보다 DAI가 0.9포인트 올라갔다. 그 뒤를 이어 2년 전 1~2위를 기록했던 싱가포르와 뉴질랜드의 기업들이 0.5 ~ 0.7포인트 DAI가 개선되면서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많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노력이 전술적에서 전략적 단계로 넘어갔음을 의미한다. 한국 기업들은 2020년보다 DAI가 0.5포인트 개선되면서 2년 전과 동일한 4위를 유지했다.

이 지사장은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디지털 이니셔티브를 조율하면서 비즈니스 전환을 리드해야 하며,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전사 의사 결정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최고인사책임자(CHRO)는 민첩한 인력을 양성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