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9부 능선' 넘은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21일 교섭 재개

임금 인상폭 등 좁혔지만, 손배소 쟁점

21일 오전 10시 재개…막판 교섭될 듯

교섭 실패 시 예고된 공권력 투입 가능성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오후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있는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 회의실을 찾아 원청 소속인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 조합원들과의 면담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오후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있는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 회의실을 찾아 원청 소속인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 조합원들과의 면담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극적 타결 기대감이 있었던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 협상이 다시 결렬됐다. 노사가 파업에 따른 피해 보상을 어떻게 할지만 합의 걸림돌로 남았다. 21일 재개되는 사실상 막판 교섭이 자율 합의냐, 공권력 투입이냐 파업의 향방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하청업체 노사는 이날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20분까지 협상을 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다만 노사는 21일 오전 10시 협상테이블에 마주앉는다. 15일부터 이어온 대화의 끈은 서로 잡고 있는 것이다. 이날 보다 교섭 시작시간이 1시간 앞당겨진 점도 눈에 띈다.



이날 노사 협상은 극적 타결 기대감이 높았다. 당초 노조가 임금 삭감분을 회복하는 30% 인상에서 5% 인상까지 인상폭을 낮춘데다 사측은 노조가 원하는 노동권 보장에 대해서도 큰 틀에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하지만 노사는 파업 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을 두고 평행선을 달렸다. 노조는 파업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취하를 원하지만, 원청인 대우조선해양과 하청 사측은 손해배상 청구가 불가피하다고 맞섰다. 원청 측에서는 파업으로 인해 6000억원이 넘는 피해를 입었다고 피해 보상이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21일 재개되는 협상의 쟁점은 마지막 걸림돌인 손배소를 두고 노사가 얼마나 이견을 좁힐지다. 이날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이틀째 노사를 만나 정부의 선 파업 종료, 후 정부 지원 원칙을 재차 강조한 점도 협상 타결 전망을 밝게 한다. 이날 파업 현장에서 이뤄진 대우조선해양 노조 측과 하청 노조 측의 맞불 집회도 큰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그동안 정부는 파업 장기화로 대우조선해양뿐 아니라 조선업, 거제 지역에까지 미친 피해를 막기 위해 강경책(공권력 투입 시사), 온건책(두 차례 담화문 발표)을 번갈아 썼다. 전날까지만 해도 파업 현장에 조만간 경찰이 동원돼 강제 해산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많았다. 하지만 정부는 노사 문제는 자율로 해결한다는 원칙 아래 적극적인 중재를 이어오고 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