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위정현 게임학회장 "텐센트 게임산업협회 이사사 가입 유감"

"韓·中 게임 무역불균형 심화…WTO 제소 고려해야"

"P2E, 메타버스는 하락기…확률형 아이템부터 해결해야"

"게임 질병코드 도입 저지, 문체부 적극 노력 필요"

사진 제공=연합뉴스사진 제공=연합뉴스




최근 텐센트가 한국 지사를 통해 한국게임산업협회 이사사로 가입한 것에 대해 학계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 게임사의 중국 시장 진출이 사실상 막혀 있는 가운데 텐센트가 협회에 가입함으로써 무역 불균형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中 텐센트가 ‘한국’게임산업협회에? 유감”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겸 한국게임학회 회장은 21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서 열린 한국게임학회 기자간담회에서 “게임산업협회는 국내 게임사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결성된 집단”이라며 “국내 게임사들은 중국에서 판호 발급도 못 받고, 현지 법인도 세우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 최대 게임사를 이사사로 받아들인 협회의 결정을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비판했다.

실제 지난 2017년 한한령 발동 이후 현재까지 판호를 획득한 국내 게임은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컴투스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 △스튜디오비사이드(넥슨 관계사) ‘카운터사이드’ △핸드메이드 ‘룸즈’ △펄어비스 ‘검은사막 모바일’ △님블뉴런(넵튠 자회사) ‘이터널 리턴’ 등 총 6개에 그친다. 판호 발급 전부터 중국 서비스를 해오던 서머너즈 워를 제외한다면 이 중 실제 출시까지 이어진 게임은 검은사막 모바일 하나 뿐이다.



반면 중국 게임사들은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수 년 간 매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미호요 ‘원신’, 4399 코리아 ‘기적의 검’ 등이 대표적이다. 텐센트 또한 지난 2011년 국내 진출한 이후 ‘백야극광’, ‘콜 오브 듀티 모바일’ 등을 서비스해 왔으며 지난달에는 신작 ‘천애명월도M’을 출시했다. 텐센트는 국내 게임사 지분에도 꾸준히 투자해 왔다. 크래프톤 2대 주주, 넷마블 3대 주주이며 네이버 손자회사인 라인게임즈에도 지난해 500억 원을 투자했다.

관련기사



위 교수는 “텐센트는 중국 정보기술(IT) 강자인 데다가 국내에서도 ‘큰손’”이라며 “단순히 중소 개발사 하나가 협회에 가입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중국의 판호 발급 통제에 대해선 세계무역기구(WTO) 제소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 교수는 “판호는 불공정무역이기 때문에 미국이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며 “중국의 저작권 침해에 대해 공세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P2E·메타버스 거품 꺼져”


위 교수는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에 대해서도 “거품이 꺼졌다”며 비관적인 진단을 내렸다. 위 교수는 “테라·루나 사태로 인해 코인 운영사에 대한 불신이 커지며 P2E 게임에 대한 기대감도 추락한 상황”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동남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게임사들이 규제 완화를 요청하기에 앞서 P2E 게임과 확률형 아이템 간 연결고리부터 끊는 게 시급하다고도 주장했다. 위 교수는 “국내 게임사들은 여전히 P2E 게임을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기 위한 비즈니스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이 연결고리를 끊어야 P2E 게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P2E와 함께 지난해 가장 뜨거운 키워드로 꼽혔던 메타버스에 대해서도 “단어 자체가 사라질 수 있다”며 비관론을 이어갔다. 서비스를 뒷받침할 만한 사업 모델이 부재하다는 이유에서다. 위 교수는 “네이버 ‘제페토’의 경우 유료 아이템 판매 외 별다른 사업 모델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고, 해외에서는 메타가 주가 폭락과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며 “정부 또한 지난해 메타버스 지원사업에 막대한 돈을 투자했는데 성공한 사업은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게임 질병코드 도입 저지, 문체부 역할 중요”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게임 질병코드 도입과 관련해선 산업진흥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놨다. ‘게임이용 장애 질병코드 국내도입 문제 관련 민·관 협의체’가 2020년 연구용역을 맡긴 보고서 세 편이 최근 완료됐고, 위 교수에 따르면 그 중 두 편이 도입에 비판적인 입장으로 보인다. 위 교수는 "2019년에 게임질병코드 등재를 막을 수 있던 건 당시 박양우 전 장관을 비롯한 문체부의 공이 컸다”며 “신임 장관 또한 박양우 전 장관처럼 명확한 반대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