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내 올 상반기 아파트 거래량 전년 대비 67.9% 급감…2008년 금융위기때보다 낮아

경기도, '부동산 거래 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 결과 공개

부동산 총거래량 14만751건…전년 동기 대비 42.6% 감소

경기도 연도별 아파트 거래 현황경기도 연도별 아파트 거래 현황




경기도 내 올 상반기 부동산 거래량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42.6%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아파트 거래량은 경기도가 관련 통계 기록을 만들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저치로 2008년 세계금융 위기 때보다도 낮은 2만9,334건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도 상반기 부동산 거래 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는 경기도에 취득 신고된 과세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지난 1월을 기점으로 점차 회복세를 보이던 도내 부동산 거래량은 5월 하락세로 전환한 이후 6월에는 전월 2만6,903건 대비 27.8% 급락한 1만9,436건을 기록했다.

올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거래량은 모두 14만75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량인 24만5,055건과 비교해 42.6% 하락했다. 이는 본격적인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지난해 하반기 19만371건과 비교해도 26.1%가 낮은 수치다.



유형별로는 주택 거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관련기사



공동주택의 경우 상반기 거래량은 5만2,29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만3007건 보다 57.5% 줄었으며, 개별주택도 5,444건이 거래돼 지난해 같은 기간 8,668건 대비 37.2% 감소했다. 특히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상반기 대비 67.9% 급감(9만1,506건→2만9,334건)하면서 전반적인 부동산 거래침체를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08년 하반기 세계금융위기 때 거래량인 3만4,537건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아파트 거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수원시로 올해 상반기 1,951건이 거래돼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량 9,295건과 비교해 7,344건(79%↓)이 줄었다.

토지와 오피스텔의 경우도 거래량이 각각 7만5,414건, 7,596건으로 지난해 10만3,347건, 1만33건 대비 27%, 24.3% 줄었다.

한편 올 상반기 경기도에서 거래된 9만9,501건의 부동산 현실화율을 분석한 결과 도내 공동주택과 개별주택의 연평균 현실화율은 각각 57%와 53%, 토지는 47%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화율은 실거래가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정부가 목표한 2022년 현실화율은 공동주택은 71.5%, 개별주택은 58.1%, 토지는 71.6%다.

올해는 부동산 거래량 급감에 따른 실거래가격 하락과 2022년 공시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은 전년 대비 2%포인트 상승했으며, 개별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거래금액을 보면 공동주택의 경우 3억원 미만 구간의 평균 현실화율이 55%로 나타나 저가 주택의 공시가격이 상대적으로 시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