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CIA 국장 "스리랑카 붕괴된건 中과 멍청한 도박 했기 때문"

20일(현지시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시민들이 라닐 위크레메싱게 신임 대통령의 당선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국가 부도의 책임을 물어 고타바야 라자팍사 전 대통령과 함께 사임 압박을 받던 위크레메싱게 총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반정부 시위가 재개됐다./연합뉴스20일(현지시간)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시민들이 라닐 위크레메싱게 신임 대통령의 당선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국가 부도의 책임을 물어 고타바야 라자팍사 전 대통령과 함께 사임 압박을 받던 위크레메싱게 총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반정부 시위가 재개됐다./연합뉴스




빌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스리랑카가 국가 부도 사태로 내몰린 것은 중국과 ‘멍청한 도박’을 했기 때문이라며 다른 나라들이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20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번스 국장은 이날 열린 미국 애스펀 안보 포럼에서 중국에 빚을 지는 방식으로 국가 경제를 운영한 것이 스리랑카 국가 부도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번스 국장은 "중국에 막대한 빚을 진 스리랑카는 자국 경제, 미래를 두고 정말로 멍청한 도박수를 던졌고 그 결과 경제, 정치적으로 파멸적 대가에 고통받고 있다"고 연설했다.

관련기사



그는 귀가 솔깃한 제안을 하고 채무를 지게 하는 중국의 ‘스리랑카식’ 접근 방식을 언급하면서 "이런 상황은 중동, 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다른 나라에 구체적 교훈이 돼야 한다, 눈을 크게 뜨고 그런 종류의 합의를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실제 전략적으로 인도 인근에 위치한 스리랑카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 인도는 중국의 대표적인 라이벌이기도 하다. 이번 부도 사태 속에서 해외로 도피한 고타바야 라자팍사 전 스리랑카 대통령은 중국과의 긴밀한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스리랑카가 채무를 떠안고 중국 자본으로 건설한 시설들은 부실화되는 경우가 잦았다. 2017년 남부에 항구를 건립한 뒤 140억 달러(약 18조4,000억원) 채무를 상환하지 못해 중국에 해당 시설을 99년 동안 빌려준 일도 있었다.

중국에 2억 달러(약 2,600억원)를 빌려 그 항구 근처에 지은 라자팍사 공항은 이용도가 너무 낮아 한때 전기요금을 내지 못할 정도의 경영난을 겪기도 했다. 스리랑카는 대외 국가채무 510억 달러(약 67조원)를 갚지 못해 올해 5월 18일 국가부도를 뜻하는 공식적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봉쇄로 스리랑카의 경제 위기가 고조됐다면서 러시아를 공개 비난하기도 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