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코로나 대출, 분할상환·만기연장 투트랙 가야"

[김주현-5대 금융지주 회장 간담회]

민생안정대책 금융권 협조 당부

당근책으로 규제 혁신 예고했지만

현장선 "환영하지만 부담스럽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업권과 간담회를 열고 민생안정 대책에 대한 금융권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배부열(왼쪽부터) NH금융지주 부사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 위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사진 제공=금융위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업권과 간담회를 열고 민생안정 대책에 대한 금융권의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배부열(왼쪽부터) NH금융지주 부사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 위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사진 제공=금융위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들고 5대 금융지주 회장을 만났다. 취임 후 업권과 첫 만남을 금융지주 회장과의 간담회로 택한 김 위원장은 취약 차주 지원에 대한 은행의 역할과 적극적인 협조를 강하게 요청했다. ‘125조 원+a’ 규모의 민생안정 대책을 실제 집행하고 사각지대를 메우는 데 금융사의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신 은행권의 염원이었던 금산분리 완화 등 규제 혁신을 당근책으로 제시하며 여기저기 터져 나오는 불만을 달래는 모양새다.



김 위원장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배부열 NH금융지주 부사장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예상대로 14일 발표한 민생안정 대책의 금융권 협조를 당부하며 전산시스템 구축 등 실무까지 꼼꼼히 챙겼다. 금융위는 10월 30조 원 규모의 ‘새출발기금’을 통해 90일 이상 연체한 자영업자·소상공인에 원금 60~90%를 감면해주고 고금리를 저금리로 대환해주는 프로그램도 시행할 예정이다. 실무 작업 대부분이 개별 은행 지점에서 이뤄지는 만큼 사전에 은행들의 전산시스템 구축 등이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보다 김 위원장이 더 방점을 찍은 부분은 민생 대책에 대해 도덕적 해이 논란이 불거진 점을 의식해 사각지대에 대한 금융권의 역할이다. 9월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만기 연장,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될 경우 금융권은 새출발기금의 채무 조정을 받지 못하는 차주들을 자율적으로 만기 연장, 상환 유예를 해줘야 하는 숙제를 받았다. 김 위원장은 “차주를 잘 알고 있는 금융기관이 먼저 컨설팅하고 연착륙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권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금융위는 금산분리 완화 등 금융 규제 개혁도 예고한 상황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도 금융권에서 제출한 규제 개선 과제를 검토해 구체적인 결과물로 응답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금융지주 회장들은 김 위원장의 요청에 민생 대책에 대한 적극적인 동참뿐 아니라 국민이 겪는 어려움을 살피고 금융 취약 계층에 대한 자체적인 금융 지원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 회장은 “9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 대책이 종료되는데 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보다는 분할 상환과 만기 연장 프로그램을 두는 게 소상공인에게도 좋고 금융사의 건전성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 윤 회장은 “민간 부문에서도 적극 협조해 고객이 실감하는 체제를 만들도록 KB를 비롯한 민간에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함 회장은 “은행 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9월 종료되는 만기상환, 이자 상환 유예 차주에 대해 금리도 깎아주고 (만기도) 연장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하나금융 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했다.

다만 일선 현장에서는 여전히 금융위의 요구가 부담스럽다. 새출발기금·대환대출 등의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은행들이 손실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날 KB금융을 시작으로 신한·하나·우리금융의 실적이 공개되는 가운데 모두 상반기 최대 순이익을 거두며 금융 당국의 고통 분담 요구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관계자는 “이자이익의 증가세는 점차 둔화되고 순이익의 상당 부분은 비이자이익에서 더 많이 나오고 있다”며 “총이익이 최대라고 해서 압박을 주는 모양새라 금융사로서는 고민스럽다”고 전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