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1·6 청문회 "트럼프, 폭동 당시 TV 보며 손 놓고 있었다"

8차 공개 청문회…폭동 당일 행적 ‘분 단위’로 추적

“트럼프, 측근 설득에도 진압 거부…폭동에 '초록불' 켜줬다"

올 가을 조사특위 보고서 나온다…차기 대선 출마 걸림돌 예상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21일(현지 시간) 열린 미국 하원 1·6 진상조사특별위원회의 8차 공개청문회에서 지난해 연방의사당 폭동 사건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진압 시도 없이 사태를 수수방관했다는 증언이 나오며 ‘직무 유기’ 혐의에 초점이 맞춰졌다.

관련기사



이날 조사특위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지난해 1월 6일 그의 지지자들이 의사당에 난입한 시점부터 그가 시위대에게 퇴거 촉구 영상 메시지를 전하기까지 걸린 187분 동안 어떤 조처를 했는지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직전 7차 청문회에서 폭동 몇 주 전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게시한 선동 트윗의 영향을 살펴본 데 이어 사건 당일의 행적을 추적한 것이다.

조사 결과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측근과 가족의 설득에도 그 어떤 행정부처에도 지원을 요청하지 않은 채 사태를 방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리즈 체니 조사특위 부위원장은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의사당을 떠나라고 말하길 거부한 채 백악관에 앉아 폭동 장면을 TV로 지켜봤다고 전했다. 군 통수권자였음에도 국방부 장관이나 법무부 장관, 국토안보부 장관 중 누구에게도 관련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는 증언도 이어졌다. 이날 매슈 포틴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부보좌관과 세라 매슈스 당시 백악관 부대변인 등도 증인으로 나서 직무 유기 주장을 뒷받침했으며 지난달 제기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경호원 저지에도 의회 난입 현장에 찾아가려 했다’는 주장에도 추가 증언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7월 시작돼 1년 가까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폭동 선동 혐의를 조사 중인 특위는 지난달부터 공개 청문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을 끝으로 청문회는 당분간 소강상태에 접어들어 증인·정보를 추가 수집한 뒤 9월 재개될 예정이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