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끝난 줄 알았던 소아마비가…美 9년만에 확진자 발생 '화들짝'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미국에서 9년 만에 소아마비 확진자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뉴욕주 로클랜드 카운티에 거주하는 20살 남성이 소아마비에 확진됐다고 이날 지역 보건 당국이 밝혔다.

이 남성은 올해 폴란드, 헝가리 여행을 다녀왔으며 지난달 20일 뉴욕시 병원에 입원했다. 앞서 진단에서는 급성 이완성 척수염일 가능성이 나왔으나 후속 검사에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전염됐을 것으로 보이는 척수성 소아마비가 검출됐다.

환자는 퇴원 이후 부인과 함께 부모 집에서 지내고 있으며,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중으로 당국은 알렸다.

당국은 로클랜드 지역 주민에게 소아마비 주의보를 내렸으며, 병원에도 추가 사례가 나오는지 주의하라고 했다.



로클랜드 보건 당국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확진은 1건이고 이게 전부이길 바란다"며 “이 환자가 현재 감염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별도 성명에서 "현재로서는 백신 접종자의 위험성은 낮다"면서 "이 환자가 어디서 어떻게 감염됐는지 전문가들이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국은 환자가 감염성이 없다는 것과 관련해 추가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고 WP는 보도했다.

미국에서 소아마비가 자연 발생한 것은 1979년이 마지막이었으며, CDC가 확인한 것은 2013년 이후 9년 만이다.

의료계에서는 환자의 전염성이 초기 2주간 가장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소아마비는 매우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소아에게 발병해 수족 마비 후유증을 남기며, 백신 미접종자 중에서는 1000명 중 5명꼴로 영구적 마비가 나타난다.

예방 접종이 확산하면서 이미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에서 퇴치 선언이 나왔다.

미국도 소아 예방 접종으로 대부분 인구가 면역을 갖춘 상태지만 로클랜드 카운티를 포함한 극정통파 유대교 지역 주민은 백신 미접종에 따른 고위험군으로 알려졌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