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파업 땐 '하청' 타결 땐 '협력사'…세심하지 못한 정부 담화

대우하청 파업 정부 발표문 비교

원청·협력사 통용되지만 어감 달라

노동계, 정부 파업 시각 반영 아쉬움

22일 3개 부처 장관 대우조선 하청 파업 입장문 일부22일 3개 부처 장관 대우조선 하청 파업 입장문 일부




14일 2개 부처 장관 대우조선 하청 파업 담화문 일부14일 2개 부처 장관 대우조선 하청 파업 담화문 일부


"대우조선해양 사내협력사 노사합의에 따라 불법행위가 종결됐습니다."(22일 고용노동부·법무부·행정안전부 3개 장관 발표문)



"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 노조는 불법적으로 시설을 점거했습니다."(14일 고용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담화문)

관련기사



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 노조 파업이 22일 극적으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정부는 파업 중단을 촉구할 때는 하청이라고, 파업이 해결된 뒤에는 협력사라고 표현했다. 두 담화문의 제목부터 같은 하청과 협력사로 구분된다. 노동계에서는 정부가 노동계 파업을 바라보는 시선이 담긴 것 아니냐는 아쉽다는 반응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화물연대 총파업에 이어 사회적으로 이목이 쓸린 가장 큰 파업이란 점에서 정부가 세심한 단어 선택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22일 고용부, 노동계, 경영계에 따르면 하청과 협력사는 같은 의미로 통용돼 모두 쓸 수 있는 말이다. 다만 경영계에서는 협력사란 단어를 하청 보다 즐겨 쓴다. 협력사는 단어 그대로 협력적인,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줘서다. 이 때문에 작년 노조 파업을 겪은 A기업은 '하청이 아니라 협력사로 표현해달라'고 언론에 부탁하기도 했다.

반면 하청은 원청과 관계를 쓰는 단어인 탓에 협력이라는 관계 보다 법적 구분이 더 강하다. 두 발표를 접한 한 노동조합 관계자는 "협력사는 하청 보다 존중받고, 하청은 협력사보다 낮춰부르는 느낌이 드는 게 사실"이라며 "파업 중단을 촉구할 때는 하청으로 쓰고, 파업이 해결되니 협력사라고 부르는 게 정부"라고 아쉬워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하청과 협력사 모두 쓸 수 있는 단어로 다르게 쓴 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