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모형 비판'에 문체부 “청와대 구 본관 건물 복원 아냐…미니어처 제작”

해명 자료에 ‘작은’ ‘미니어처’ 표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 관저로 건축됐다가 나중에 경무대로 사용된 청와대 구 본관 건물. 서울경제DB일제강점기 조선총독 관저로 건축됐다가 나중에 경무대로 사용된 청와대 구 본관 건물. 서울경제DB




문화체육관광부는 옛 조선총독 관저로 만들어져 청와대 구 본관으로 사용된 건물의 ‘모형 복원’ 추진과 관련해 야권 등에서 비판이 제기되자 “실제 건물을 복원하는 것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문체부는 22일 오후 “청와대 구 본관 복원은 사실과 다릅니다. 실제 건물을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30년 전의 모습을 관람객들에게 안내하기 위하여 작은 모형(미니어처)의 제작을 검토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는 짧은 입장문을 발표했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지난 21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최근 개방된 청와대 활용 방안의 일부로 구 본관 터에 모형 복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업무보고 관련 발표 자료에는 “구 본관(1993년 YS 지시로 철거) 모형 복원 추진”이라고 표현돼 있다. 다만 복원 규모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아 논란을 불렀다. 22일 입장문에서 ‘모형(미니어처)’라고 제시한 것은 일각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지난 1939년 준공된 구 본관은 조선총독 관저, 해방 후 3년간 미군 사령관 관저로 쓰이다 1948년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경무대로 활용됐으며 1993년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철거됐다.

앞서 이에 대해 야당은 비판적인 성명을 내놓았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2일 논평을 통해 “문체부는 일제의 잔재로 민족정기를 끊기 위해 지어졌던 건물을 복원하겠다는 발상이 과연 어디서 나온 것인지부터 분명하게 답하시기 바란다”며 “이러다 조선총독부였던 중앙청 모형도 복원하겠다고 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전재수 의원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1993년 민족정기를 바로 잡고 국민의 자긍심을 되살리기 위해 철거됐다”며 “누가 무슨 생각으로 복원을 추진하는지 대정부 질문을 통해 확인해봐야겠다”고 지적했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