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외국인도 총수 지정…공정위, 8월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특수관계인 혈족 4촌·인척 3촌으로

내년 김범석 쿠팡의장 지정 가능성

친인척 보유 주식현황 보고 등 의무

촌수 개념 없는 외국인 규제 논란

형사고발 때 법집행 실효성 의문

통상 마찰·외인 투자 위축 우려도





공정거래위원회가 외국인도 대기업의 동일인(총수)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다음 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시행령을 개정한다. 이에 따라 미국 국적의 김범석 쿠팡 의장도 내년 5월이면 총수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의장이 총수로 지정되면 친인척이 보유한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하는 등 각종 의무가 부과된다. 하지만 촌수 개념이 없는 외국인에게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 규제를 적용하는 문제와 형사 고발 시 해외 당국의 협조 여부 등 규제 실효성이 담보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공정위는 다음 달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 동일인 지정 기준을 마련해 ‘한국계 외국 국적 보유 자연인’도 총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총수의 특수관계인이 되는 친족 범위를 기존의 혈족 6촌·인척 4촌에서 혈족 4촌·인척 3촌으로 줄이는 것이 골자다. 현재 법령상 총수의 정의·요건이 불분명해 총수 지정 시 공정위의 자의적 판단에 의존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이에 김 의장은 내년 5월 대기업집단 지정에서 총수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기사



하지만 재계에서는 공정위가 외국인을 총수로 지정하더라도 해외에 거주 중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법을 집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총수는 사익 편취 등 각종 규제의 기준이 된다. 김 의장이 총수로 지정되면 지정자료 제출 의무가 생겨 친인척이 보유한 주식 현황을 보고해야 하고 자료 허위·누락 제출이 발견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 5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된다.

문제는 촌수 개념이 없는 외국인에게 특수관계인으로서 친인척 관련 자료 제출 등을 강제할 수 있느냐다. 또 외국인 총수가 자료 제출 의무를 위반해 형사 고발을 당했을 때 법 집행의 문제도 있다.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가령 김 의장이 지정자료 제출 의무를 위반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과연 공정위가 형사 고발을 하고 미국으로부터 범죄인 인도를 받을 수 있겠느냐”며 “이런 복잡한 법률적 문제를 뚫고 어떻게 제도를 설계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외국인도 대기업의 동일인으로 지정할 경우 앞으로 한국계 외국인이 한국에 투자하고 사업을 확장할 유인이 사라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투자를 유치해야 하는 신생기업들의 돈 가뭄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공정위의 총수 규제가 일종의 오너 리스크로 작용해 투자를 받기 힘들어지면 한국에서 ‘제2, 제3의 김범석’이 되고자 하는 한국계 외국인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인인 김 의장을 총수로 지정했을 때 미국과의 통상 마찰도 또 다른 우려 요인이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의 최혜국 대우조항에 따르면 미국인 투자자는 제3국 투자자에 비해 불리한 취급을 받아서는 안 된다. 공정위가 에쓰오일의 총수를 사우디아라비아 왕실이 아닌 에쓰오일 한국법인으로 지정한 상황에서 미국인인 김 의장을 첫 외국인 총수로 지정할 경우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