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문가 체감 제조업경기 석 달째 악화…반도체·휴대폰·조선 ‘먹구름’

7월 PSI 73…2년3개월래 최저

반도체 한 달새 40p나 급락

8월 전망 PSI도 소폭 하락세


전문가들이 체감하는 제조업 경기가 석 달 연속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 업종인 반도체와 휴대폰·조선 부문이 크게 나빠진 반면 자동차는 대폭 개선됐다.

산업연구원은 11~15일 17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33개 업종에 대한 ‘전문가서베이지수(PSI)’ 조사를 실시한 결과 7월 제조업 업황 PSI가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3에 그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2020년 4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업 PSI는 4월 102에서 5월 91, 6월 76, 7월 73으로 석 달 연속 하락했다. 항목별로 보면 내수(78)와 수출(84)은 기준선(100)을 크게 밑돌았으나 전월보다는 각각 2포인트와 4포인트 오르며 5개월 만에 상승 전환됐다. 생산(86)은 전월과 같고 재고 수준은 108로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100)을 웃돌았다. 투자액은 전월보다 5포인트 내린 87로 2020년 7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이 51로 전월보다 17포인트나 급락해 2019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 소재 부문은 63으로 6포인트 내리며 2020년 4월 이후 최저였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가 38로 전월보다 40포인트나 폭락했고 휴대폰은 52로 20포인트 하락했다. 섬유와 조선도 68과 110으로 각각 15포인트와 8포인트씩 내렸다. 조선 업종의 PSI는 3월 이후 넉 달 만에 하락했다. 반면 자동차는 109로 24포인트 급등했다.

8월 제조업 전망 PSI는 74로 이달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6월 94에서 7월 77로 급락한 데 이어 8월 74로 계속 내렸지만 하락 폭은 줄어들었다. 반도체 8월 전망 PSI는 48로 이달보다 26포인트 급락해 하락세가 이어졌고 자동차는 112로 18포인트 상승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