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자의 눈] 누구를 위한 모빌리티 매각인가

정다은 IT부 기자


25일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이 광화문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었다. 익숙한 풍경이지만 ‘카카오의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반대’라는 다소 이질적인 집회 목적이 눈길을 끌었다. 일견 연결 고리가 희미해 보이나 실제로 대리노조는 지난해 모빌리티 측으로부터 노동법상 노조로 인정받고 현재 교섭을 진행 중이다.

이날의 광경은 카카오가 단순 ‘메신저 회사’가 아닌 국민 플랫폼으로 성장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카카오는 지난달 불거진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에 대해 ‘상생’을 위해 2대 주주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최근 느지막이 답을 내놓았다. 하지만 ‘카카오 T’ 플랫폼이 800명 임직원, 10만 플랫폼 노동자들의 삶의 터전임을 감안했을 때 설득력이 크지는 않다.



카카오는 모빌리티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 카카오 울타리를 벗어나야 한다는 설명도 덧붙인다. 물론 카카오에 기대되는 사회적 책임이 모빌리티의 사업 확장에 제약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모빌리티가 여태 카카오 브랜드를 발판 삼아 인지도를 높이고 우수 인재를 끌어들이고 유수 글로벌 기업과 사모펀드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제약이 풀리는 동시에 든든한 뒷배도 사라지는 셈이다.

관련기사



매각 성사 시 카카오도 잃는 것이 많다. 우선 주가에 악재다. 실제 증권가는 매각 소식이 터진 직후 목표가를 줄하향했다. 그도 그럴 것이 모빌리티는 픽코마·게임즈와 더불어 지난해 기준 흑자를 낸 몇 안 되는 계열사 중 하나다.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등 미래 성장 동력도 잃게 된다. 당장 사모펀드에 돈을 갚고 창업자의 국정감사 출석은 막을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회사가 사활을 걸고 있는 글로벌 신사업 발굴에 빨간불이 켜질 공산이 크다.

결국 매각이 성사될 시 모빌리티도, 카카오도, 카카오를 ‘국민주’ 삼으며 전폭 지지했던 사회도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테다. 그런 만큼 최근 모빌리티 경영진이 직접 본사에 매각 유보를 요청하고 본사도 존중 의사를 밝혔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어찌 됐든 모빌리티는 메신저와 더불어 카카오 이름을 달고 압도적인 위치까지 성장한 몇 안 되는 서비스 중 하나다. 공동체가 키운 사업인 만큼 해법 또한 공동체 내에서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