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개미, 쪽박 공포 잊었나…빚투 3주새 8000억 늘었다

증권사 신용융자 이자율 높여도

신용융자 잔고 18.2조까지 증가

“증시 끌어 내릴 수 있는 뇌관”





‘빚투’가 되살아나고 있다. 17조 원대까지 줄어들었던 신용융자잔고는 3주도 채 되지 않아 약 8000억 원이 증가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는 중이다. 신용융자 이자율이 10%에 육박하는 가운데 ‘빚투’가 늘어나고 있어 국내 증시의 뇌관으로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8조 2721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국내 증시가 연저점을 쓰는 등 폭락하자 반대매매가 활발해지면서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7일 17조 4945억 원까지 줄었다. 하지만 약세장 속 기술적인 반등 국면에서 슬금슬금 잔고가 늘면서 3주가 채 안 되는 기간에 총 7775억이 불었다.

관련기사



문제는 증권사들이 신용융자 이자율을 10% 목전까지 인상하는 상황에서 신용거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안타증권 등 일부 증권사의 이자율이 9%를 넘는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증권사는 기준금리에 자체적인 가산금리를 합해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산정한다.

높은 ‘빚투’ 비율은 국내 증시의 뇌관으로 여겨졌다. 6월 글로벌 증시 폭락장에서 국내 증시가 유독 큰 낙폭을 보인 배경도 주식을 강제로 처분당하는 반대매매가 하락의 악순환을 불러 왔다는 분석이 많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가 유독 부진했던 이유는 지난 5~6년 평균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의 신용융자 잔고 비율”이라며 “신용잔고의 적정 수준을 가늠하기 어렵지만 2017년 이후 평균으로 계산했을 때 코스피는 0.4%, 코스닥은 2.3%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22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으로 계산했을 때 적정 신용융자 잔고 비율은 15조 7454억 원으로 현재 수준에서 2조 5000억 원가량의 ‘빚투’가 줄어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저신용 청년을 대상으로 이자를 감면해주고 원금 상환기간을 유예하는 등 연달아 특례 대책을 내놓으면서 ‘빚투’를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신용평점 하위 20% 이하 청년들을 대상으로 채무 정도에 따라 이자를 30~50% 감면하고 최대 3년간 원금의 상환유예를 하는 대책을 내놓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신용융자 이자율이 높아지면 당연히 잔고가 줄어드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폭락장에서 ‘빚투’가 증시를 더욱 끌어내리는 뇌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기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