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류장수 AP위성 회장 "일할 만하면 대기업서 빼가…정부, 우주산업 상생 생태계 만들어달라" [다시 기업을 뛰게하자]

3부-혁신 현장을 가다

<2> 뉴스페이스 판 흔드는 AP위성

[류장수 AP위성 회장 인터뷰]

대기업과 개발분야 겹치면 피해 커

상생하려면 우주인력도 관리 필요

위성인터넷 표준화 선점 신경써야

류장수 AP위성 회장류장수 AP위성 회장




“우주 인력을 3년가량 힘들게 키워놓으면 자꾸 대기업들이 뽑아가 비슷한 일을 하려고 해 고민이 많습니다. 봉급을 많이 올려준다고 하나 대기업만큼 하기는 힘들지 않습니까. 이렇게 해서는 뉴스페이스를 위한 우주 생태계를 키울 수 없습니다.”



류장수(70·사진) AP위성 회장은 25일 서울 가산디지털단지 본사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갖고 “정부가 대학에서의 핵심 인재 양성뿐 아니라 대·중소기업 간 인력 상생 생태계 구축에도 많은 관심을 뒀으면 한다”며 이같이 호소했다. 대기업이 자체적인 인력 양성에 더 신경을 쏟고 기존 우주 벤처·스타트업들이 하지 않는 일을 해야 뉴스페이스 시대를 만들 수 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그는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미사일 개발을 한 데 이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국내 최초의 실용위성인 아리랑1호 총괄책임을 맡은 뒤 2000년 현대전자(현재 SK하이닉스)의 위성사업부 출신 연구원들과 함께 AP위성을 창업했다.

그는 “현재 컨텍 등 우주 스타트업이 수십 개 있는데 AP위성뿐 아니라 이들 스타트업에서 힘들게 키워놓은 인력을 큰 기업에서 손쉽게 빼가면 어떻게 되겠느냐”며 “큰 기업이 벤처·스타트업과 겹치지 않게 우주 시장을 키워 상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회사는 매년 매출의 30% 이상을 R&D에 쏟아 부으며 위성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장기 근속 베테랑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더욱이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상황이어서 인력 유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류장수 AP위성 회장이 위성 휴대폰 내부의 칩을 설명하고 있다.류장수 AP위성 회장이 위성 휴대폰 내부의 칩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우주기술협회장을 지낸 그는 정부에 대해서도 “국가적으로 볼 때 창의적인 사업 아이디어는 대기업보다 오히려 벤처·스타트업에서 더 많이 나온다”며 “대·중소기업 간 인력 생태계에 대해서도 신경을 많이 써달라”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류 회장은 중장기적으로 위성통화·인터넷 시장 진출 추진과 관련해서도 “현재 위성인터넷 시장은 스타링크나 원웹 등 추진하는 글로벌 기업마다 표준이 달라 제각각”이라며 “우리나라가 5세대(5G)를 세계 최초로 시현한 것처럼 위성인터넷에서도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해 관련 시장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정부의 더 많은 관심을 요청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우리가 강점을 갖고 5G NTN 방식으로 위성인터넷의 글로벌 표준화를 시현하는 데 다같이 힘을 모으자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현재는 인공위성의 규격도 다 달라 안드로이드라든지 여러 소프트웨어를 위성에 쓰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정해야 돼 위성도 5G로 규격을 통일하자는 게 그의 소신이다.

그는 “우리나라는 우주 개발은 늦었지만 정보기술(IT)·통신이 잘돼 있다”며 “미국·중국·유럽·러시아·일본·인도 등 우주 강국처럼 아날로그에서 시작하는 게 아니라 디지털에서 바로 시작할 수 있어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우리가 반도체에서 진공관 시절을 건너뛰고 바로 시작했던 게 주효했던 것처럼 우주도 IT를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산·학·연·정이 힘을 모으면 경쟁력을 크게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류 회장은 “세계에서 극소수에 불과한 이동 위성통신 단말기의 핵심 기술을 갖고 있을 정도로 기술력을 쌓았다”며 “최근 한국형 발사체(누리호)의 성능검증위성 개발뿐 아니라 8월 3일 발사하는 탈 탐사선의 플라잉 모델 납품에 이어 앞으로 차세대 중형 위성 3~5호와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에도 참여한다”고 주먹을 불끈 쥐었다.

고광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