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바이든 면담한 최태원 "美 39조 투자"…첨단 반도체 패키징 공장 짓는다

SK, 신규 29조 포함 38조원 대미투자…반도체-배터리 등 4대 분야

최태원, 바이든 면담서 발표…"美제조업 혁신에 적극 기여"

바이든, 땡큐 연발…"한미 21세기 기술경쟁서 승리"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SK그룹이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그린 에너지, 바이오 등 4대 분야에 걸쳐 약 300억달러(약 39조원)를 미국에 투자한다.

27일 SK에 따르면 미국을 방문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한국 시간으로 27일 새벽(미국 시간 26일 오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화상 면담을 하고 향후 대미 투자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에 220억달러(약 29조원)를 신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에 발표했던 7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포함하면 총 대미 투자액은 290억달러에 달한다.



신규 투자액 220억달러 가운데 150억달러(약 20조원)는 반도체 분야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이 투자금을 활용해 미국의 대학교를 선정해 반도체 연구·개발(R&D) 협력을 하고,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후공정) 제조 시설을 새로 설립하기로 했다. 반도체 패키징의 경우 반도체 공정 가운데 후공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칩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할과 동시에 칩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도 한다. SK그룹 관계자는 “반도체 R&D 투자는 단순히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만 그치지 않고 SK하이닉스(000660)의 기술력 강화로 이어져 메모리 등 한국 반도체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SK는 아울러 첨단 소형 원자로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의 신규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이미 SK㈜와 SK이노베이션(096770)은 미국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협력(MOU)을 체결하고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반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 분야에도 20억달러(약 2조6000억원)를 투자한다. 이에 더해 SK가 기존에 발표한 전기차 배터리 분야 70억달러 투자까지 합하면 향후 대미 투자 규모는 300억달러에 달한다.

최 회장과 바이든 대통령의 이날 면담에는 미국 측에서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알리 자이디 백악관 환경 어드바이저 등이, SK 측에서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유정준 SK 북미 대외협력 총괄 부회장 등이 각각 배석했다. 최 회장은 “한미 양국은 21세기 세계 경제를 주도할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며 “이러한 협력은 핵심 기술과 관련한 공급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K는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일자리 창출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며 미국 행정부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으로 함께 번영할 수 있다는 데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SK그룹이 22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로 단행할 경우 미국 내 일자리는 2025년 4000개에서 2만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이번 투자를 ‘역사적 투자’로 강조하며 최 회장을 향해 “땡큐”를 연발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최 회장을 직접 대면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한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SK그룹의 투자는 미국과 한국이 21세기 기술경쟁에서 승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투자”라고 평가했다.

한편 SK는 오는 2026년까지 계획한 전체 투자 규모 247조원 가운데 179조원에 달하는 국내 투자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