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U+, 2026년 부산 하늘에 택시 띄운다

부산광역시·제주항공·GS건설 등과 MOU

2026년 UAM 상용화 목표…동남권을 전진기지로

"통신 기반해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확보할 것"


LG유플러스(032640)가 부산광역시와 부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용화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LG유플러스와 부산광역시의 2026년 UAM 상용화 추진 조감도. 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와 부산광역시의 2026년 UAM 상용화 추진 조감도. 사진제공=LG유플러스





27일 LG유플러스는 LG사이언스파크·카카오모빌리티·GS건설·GS칼텍스·제주항공·파블로항공 컨소시엄을 비롯해 부산광역시·해군작전사령부·육군제53사단·한국해양대학교·부산시설공단·부산테크노파크 등 총 13개 사업자·지자체·군·공공기관과 UAM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각 기관과 참여사들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UAM의 조기 활성화와 시장 선점을 위해 부산지역 해양 인프라를 활용한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UAM 교통관리시스템과 통신인프라 상용화를 위한 기술, 이동데이터 기반 버티포트 입지 및 여객·물류, UAM 운용 정책 등의 연구 및 실증을 토대로 UAM 생태계 기반 구축에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산이 UAM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선제적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게 이번 협약의 목적이다.

부산광역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2026년 UAM 상용화 목표로 동남권을 UAM 전진기지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부산역·이기대·동백섬 등 주요 지점에 버티포트를 구축하고 도심과 연결하는 버티스탑(UAM 터미널)을 만들 계획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국토교통부의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 참여를 위해 컨소시엄을 구성한 바 있다.

이상엽 LG유플러스 CTO(전무)는 “UAM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교통관리 시스템과 안정적인 통신 기반을 검증해 향후 차세대 모빌리티 서비스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대표(사장)는 "UAM 전체 밸류체인을 포괄하는 본 컨소시엄과 부산시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부산이 우리나라 제1의 UAM 도시, 글로벌 선도 UAM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