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 美에 반도체 패키징 공장 설립…바이든 “韓美 경제동맹의 증거”

◆39조 보따리 푸는 최태원

양측 화상 면담 시종 ‘화기애애’

美 대학교와 연구개발 협력하고

소형 원자로 등 그린 에너지에

6조5000억 신규 투자 계획도

바이든 “역사적 발표” 추켜세워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을 방문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생큐, 토니.”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6일(현지 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화상 면담을 하고 220억 달러(약 29조 원) 규모의 대미 신규 투자 계획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 회장을 영어 이름인 ‘토니’로 친근하게 부르며 SK의 미국 투자를 “역사적 발표”로 추켜세웠다.

27일 SK그룹은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그린 에너지, 바이오 등 4대 분야에 걸쳐 약 300억 달러(약 39조 원)를 미국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이 신규 투자한다고 밝힌 220억 달러에 더해 기존에 발표했던 배터리 사업에 대한 70억 달러 투자를 합한 수치다.





신규 투자액 220억 달러 가운데 150억 달러(약 20조 원)는 반도체 분야에 투입된다. 미국 대학교와의 반도체 연구개발(R&D) 협력은 물론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후공정) 제조 시설 설립이 추진된다. SK하이닉스(000660)는 현재 중국 충칭에 패키징 공장을 두고 있다.

관련기사



패키징은 회로가 새겨진 반도체 웨이퍼에 전자기기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반도체 칩을 포장하는 기술로 반도체 성능과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SK하이닉스 측은 “이번 미국 투자는 국내에 지을 전공정 팹(제조 시설)을 미국에 짓는 것이 아니라 후공정과 R&D에 대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SK는 아울러 첨단 소형 원자로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 50억 달러(약 6조 50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SK㈜와 SK이노베이션(096770)은 미국 테라파워와 포괄적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 기반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 분야에도 20억 달러(약 2조 6000억 원)를 투자한다.

최 회장과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면담에는 미국 측에서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SK 측에서는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유정준 SK 북미 대외협력 총괄 부회장이 각각 배석했다. 최 회장은 “한미 양국은 21세기 세계경제를 주도할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며 “이러한 협력은 핵심 기술과 관련한 공급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K는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일자리 창출 등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SK그룹이 2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로 단행할 경우 미국 내 일자리는 2025년 4000개에서 2만 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코로나19로 최 회장을 직접 대면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며 “이번 투자는 미국과 한국이 21세기 기술 경쟁에서 승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이 기술과 혁신을 통합해 동맹과 협력하는 길로 되돌아왔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도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올 5월 방한했을 때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방문, 현대차의 110억 달러 신규 투자 발표 사실을 언급하기도 했다.

SK는 2026년까지 계획한 전체 투자 규모 247조 원 가운데 179조 원에 달하는 국내 투자도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SK 관계자는 “훨씬 규모가 큰 국내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돼야 해외 투자도 함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면서 “이번에 발표된 대미 투자 계획은 물론 이미 확정된 국내 투자 역시 흔들림 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