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휴가철 물놀이 때도 렌즈 포기할 수 없다면 [헬시타임]

세균·바이러스 번식하기 쉬운 여름철 콘텍즈렌즈 착용 주의해야

물놀이 중 렌즈 착용, 각막에 원활한 산소공급 방해·감염 가능성↑

물놀이를 할 때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수경이나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투데이물놀이를 할 때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수경이나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투데이




본격적인 휴가철이 성금 다가왔다. 덥고 습한 여름철에는 수영장, 워터파크, 바다, 계곡과 같은 물놀이가 제격이다. 다만 세균과 바이러스가 번식하기도 쉬우므로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은 눈 건강에 주의해야 한다. 물놀이를 할 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각막에 산소공급을 방해하고, 가시아메바 등 병원균 감염 위험이 있어 최대한 지양하는 것이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경이나 안경의 불편을 견딜 수 없어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청결 유지, 올바른 보관 및 세척법을 지키되 가려움 등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한다. 여름 휴가철 현명한 콘텍트렌즈 착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 고인 물에 서식하는 ‘가시아메바’ 각막염·시력저하 일으킬 수도


워터파크와 수영장 등 고여있는 물에 서식하는 미생물인 ‘가시아메바’는 각막염과 시력저하의 주범이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렌즈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가시아메바에 감염될 확률이 450배 정도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가시아메바는 콘택트렌즈와 렌즈 보관용기에 있는 박테리아를 먹고 번식한다. 만약 오염된 렌즈를 착용하면 아메바가 눈의 각막을 먹이 삼아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렌즈 착용을 자제하고, 도수가 있는 수경이나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불가피하게 렌즈 착용할 땐 ‘청결 유지’가 필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택트렌즈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청결을 유지하고 보관, 세척 등 주의사항을 숙지해 지켜야 한다.

콘택트렌즈를 만지기 전에 항상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는 건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물놀이 전후에 물에 노출된 손으로 렌즈 및 눈을 만지면 오염된 물로 인해 병원균에 감염되기 쉽다. 오염된 물이 직접 눈에 닿지 않았더라도 물에 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이 손을 통해 눈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렌즈를 낄 때 뿐만 아니라 뺄 때도 손을 청결히 해야 한다.



휴가지나 수영장 등에 갈 때 렌즈 전용세척액을 미리 준비하는 걸 잊지 말자. 불편하다는 이유로 일반 식염수나 수돗물로 렌즈를 세척할 경우 렌즈에 달라붙어 있는 오염물질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염산 폴리헥사 메틸렌 비구아니드(PHMB)와 같은 소독 성분이 포함된 세척액을 사용하면 가시아메바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관련기사



◇ 1회용 렌즈 사용도 고려…8시간 이상 착용은 금물


물놀이 후에는 렌즈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당장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세척 후 4시간 이상 관리용액에 보관한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 완벽한 세척이 어려운 만큼 평소 소프트렌즈를 착용한다면 1회용 렌즈를 사용하고 사용 후 폐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휴가지 등에서 평소와 같이 제시간에 원칙대로 렌즈를 세척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보니 간혹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소프트렌즈의 권장 착용시간은 8시간 정도다. 8시간 이상 착용할 경우 각막에 산소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각막부종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피로한 각막에 상처가 생기기 쉬워 각막염이나 결막염에 걸릴 확률이 증가하므로 장시간 착용은 피해야 한다.

◇ 가려움·충혈 증상 나타나면 신속하게 ‘안과’ 찾아야


물놀이 후 콘택트렌즈를 뺀 후에도 충혈이 되거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안과에 방문해야 한다. 각막에 상처가 났거나 전염성이 강한 안과 질병에 감염되었다는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인공눈물을 넣은 다음 증상이 완화되는지 지켜보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속히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황규연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전문의는 “물놀이를 할 때 조금 불편하더라도 눈 건강을 위해서 되도록 안경이나 수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며 “콘택트렌즈를 꼭 착용해야 한다면 착용 시간과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조금이라도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에 방문해 진료를 받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